수 태음 폐경 유주 | 수태음폐경의 유주와 순행. 우발행 동양의학 입문. 경락경혈학 모든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수 태음 폐경 유주 – 수태음폐경의 유주와 순행. 우발행 동양의학 입문. 경락경혈학“?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ppa.foci.com.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foci.com.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우발행시골간호사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284회 및 좋아요 51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수 태음 폐경 유주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수태음폐경의 유주와 순행. 우발행 동양의학 입문. 경락경혈학 – 수 태음 폐경 유주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유튜브 \”채널 멤버십\”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만학도 시골RN 나이든팅게일의 \”우발행 동양의학 스터디\” Youtube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vdEOkfVuhkjqZdgbx67uRQ/join
만학도 시골간호사 나이든팅게일의 동양의학 인강 채널입니다.
“우발행 동의입문 힐링레시피” 동양의학 인강 다음카페 : http://cafe.daum.net/BOYAK
“우발행 간호조무사 인강” 네이버 카페 : http://cafe.naver.com/ganjopass
“우발행 간호학과 인강 스터디” 네이버 카페 : https://cafe.naver.com/bonchobangje
강의교재 (배송료 2,500원)
1.경락경혈, 근육학(그림) – 40,000원
2.침구처방 – 40,000원
3.동의기초이론 – 35,000원
4.본초.방제학 I – 35,000
5.한약처방(방제학 II) – 45,000
kakao ID : healingrecipe1 (10-6260-8911)

수 태음 폐경 유주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수태음폐경의 유주 – Daum 블로그

수태음폐경의 유주 · 1. 일단 폐경의 시작이 중초라는 점이죠. 폐경락이라면 당연히 폐에서 시작할것 같았는데 이렇듯 폐가 아닌 중완부위에서 시작을 …

+ 여기에 보기

Source: blog.daum.net

Date Published: 10/24/2022

View: 8046

수태음폐경 유주 – YouTube

수태음폐경은 음중양으로 팔의 안쪽으로 흐른다. 인오술로 심경과 심포경 9혈로 화국을 이루었다.수태음경은 폐장과는 다른 작용을 한다. 따라서 유주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youtube.com

Date Published: 3/5/2022

View: 6974

수태음 폐경 유주 – OoCities.org

모지단에 지하고 열결에서 나온 지맥이 상양으로 이어진다. 경락유주 해설. (1) 영추 경맥편, 14경락발휘 수태음폐경은 모두 11혈로 중초에서 기하여 하행해서 대장 에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oocities.org

Date Published: 9/9/2022

View: 6787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십이정경(十二正經) 중 수부삼음경(手部三陰經)의 하나이다. 수태음폐경은 중초(中焦)주 01)에서 시작되어 하행(下行)하여 대장에 연결되고 다시 상행하여 횡격막을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encykorea.aks.ac.kr

Date Published: 10/21/2021

View: 3656

수태음폐경유주[手太陰肺經流注] – 네이버 블로그

수태음폐경 유주 [手太陰肺經流注]. – 소생병(所生病)은 기침이 나고 숨이 차서 헐떡거리고 답답하며 가슴이 그득하고 팔죽지와 팔뚝의 안쪽 앞이 …

+ 더 읽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3/11/2022

View: 5378

수태음폐경의 유주와 순행. 우발행 동양의학 입문. 경락경혈학 …

개요 수태음폐경은 열 두 정경 중 하나로, 열 두 정경 중 첫 경락이다. 수양명대장경과는 표리관계이고, 주로 호흡기계의 질환을 치료한다. 유주 肺手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you.xosotanphat.com

Date Published: 7/11/2022

View: 1864

영추ㆍ경맥편 수태음폐경 유주의 한글번역에 대한 고찰

A Study on Korean Translation of the Pathway of Lung Merian in Miraculous PivotㆍMerian Vessel – lung merian;Korean translation;Miraculous Pivot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kci.go.kr

Date Published: 3/17/2021

View: 5248

수태음폐경의 유주와 순행. 우발행 동양의학 입문. 경락경혈학 …

개요 수태음폐경은 열 두 정경 중 하나로, 열 두 정경 중 첫 경락이다. 수양명대장경과는 표리관계이고, 주로 호흡기계의 질환을 치료한다. 유주 肺手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aodaithanhmai.com.vn

Date Published: 11/16/2022

View: 4238

수태음폐경 – 한의위키 – YEINZ.NET

개요 수태음폐경은 열 두 정경 중 하나로, 열 두 정경 중 첫 경락이다. 수양명대장경과는 표리관계이고, 주로 호흡기계의 질환을 치료한다. 유주 肺手 …

See also  오버 워치 환불 | 오버워치 환불방법!!! 그리고 3만5천원 할인판매중!! 대박 14098 명이 이 답변을 좋아했습니다

+ 여기에 표시

Source: yeinz.net

Date Published: 1/23/2022

View: 3004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수 태음 폐경 유주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수태음폐경의 유주와 순행. 우발행 동양의학 입문. 경락경혈학.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수태음폐경의 유주와 순행. 우발행 동양의학 입문. 경락경혈학
수태음폐경의 유주와 순행. 우발행 동양의학 입문. 경락경혈학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수 태음 폐경 유주

  • Author: 우발행시골간호사
  • Views: 조회수 2,284회
  • Likes: 좋아요 51개
  • Date Published: 2021. 4. 13.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BPHyEE8LgcI

수태음폐경의 유주

침공부를 시작하면서 가장 소홀하기 쉬운 부분이 유주인것 같습니다.

제 개인적으로도 유주공부를 소홀히 하여 놓치는 부분들이 많았는데

유주를 공부할때마다 이 짧은 글귀 속에도 정말 많은 경락생리가 들어있다는것을 발견하게 되네요 ^^

원문은 황제내경에 있는 것이고 수태음폐경부터 가벼운 마음으로 천천히 살펴본다면

많은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

먼저 원문을 보면…

肺手太陰之脈 은 起於中焦 하야 下絡大腸 하고 還循胃口 하야 上膈屬肺 하고 從肺系橫出腋下 하야 下循臑內 하야 行少陰心主之前 하야 下肘中 하고 循臂內 上骨下廉 하야 入寸口 上魚 하고 循魚際 하야 出大指之端 이라

其支者 는 從腕後直出次指內廉 하야 出其端 이라

이렇게 됩니다.

대략 해석을 하자면

“폐수태음의 경맥은 중초에서 일어나서 밑으로 내려가 대장에 락하고 돌아서 위구로 가고 횡격막을 뚫고

폐에 속하고 다시 폐에서 시작하여 횡으로 나가 겨드랑이 아래로 가서 윗팔뚝의 안쪽을 따라 내려가되

소음경과 심포경의 앞을 지나고 관절내측의 중앙을 지나 아래팔뚝안쪽으로 흘러 요골위을 지나 촌구맥에

들어가고 어제혈 부위를 지나 엄지손가락 끝으로 나온다. 그 가지는 팔목에서 검지를 따라 가서

검지끝에서 종지한다.”

정도가 되겠네요…

제가 해석한거라서 좀 조악합니다. ;;;

천천히 살펴본다면

1. 일단 폐경의 시작이 중초라는 점이죠

폐경락이라면 당연히 폐에서 시작할것 같았는데 이렇듯 폐가 아닌 중완부위에서 시작을 합니다.

경락이란 것이 기혈이 흐르는 노선, 감정이 흐르는 노선이고 그 가장 먼저 시작되는 수태음폐경이

사람의 중초 , 즉 중완부위에서 시작된다는 것은 사람이 먹고 마시는 수곡지기를 수납하는 위장과

이것을 운송시키는 비가 위치한 부위가 얼마나 중요한지 여실히 보여주는것 같습니다. ^^

사람이 잘먹고 잘 소화시켜야 기혈이 잘 돌아간다는 너무나 당연한 이치입니다.

예전부터 장침으로 중완을 찔러주는게 단순히 소화불량을 고치는 정도로 이해하기에는

너무 안타까운것이지요 ^^

유주를 아는 사람이라면 중완에 자침을 하는것이 기의 흐름이 시작되는

부위에 깃발을 꽂는다 는 의미 또한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더욱 정성으로 자침을 해야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

2. ‘하락대장, 환순위구, 상격속폐’

그다 음 이어지는게 폐와 표리관계에 있는 대장에 락하고 위의 유문부를 돌아서 횡격막을 지나 폐로 다시 들어갑

니다. 이부분에서 또 생각할 수 있는 것이 바로 폐와 대장인데… 장기가 어느 위치에 있느냐에 따라 그 장기의

기능을 유추할수 있습니다.

즉, 뜨거운 불덩어리인 심장을 지붕처럼 덮고 있는 폐는 심열을 온화하게 식혀주는 기능을 하고,

마찬가지로 뜨거운 죽과 같은 영양덩어리를 흡수하는 소장을 지붕처럼 둘러싸고 있는 대장도

소장열을 식혀주는 기능을 한답니다.

이부분이 중요한 또 한가지 이유는 폐경락이라고 해서 단순히 “폐에서 시작하여 엄지손가락으로 간다 ” 라고만

단정짓지 마시고 이렇게 흉강과 복강까지 두루 다닌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폐와 대장이 표리관계다 라는 문장을 근거로 폐병을 대장경락에서 선혈하는것이 아니라, 이렇게 기혈의 흐름인

유주가 폐에서 대장까지 연결되어 흐르기때문에 표리자법을 쓴다라고 아셔야 합니다. 같은 말 같지만 미묘한

차이를 이해하신다면 임상에 임할때 혈의 선택에 있어서 응용범위가 엄청나게 확대될수 있습니다. ^^

3. ‘종폐계횡출액하~’

폐로 돌아와서 다시 횡으로 나가서 겨드랑이로 갑니다.

여기서 중요한것이 폐의 모혈인 중부혈 이 시작된다는 점이죠. 폐병의 진단에 있어서 눈으로 확인하고 귀로 듣고

얻는 정보는 선생님들의 개인적인 선호도가 많이 가미됩니다. 하지만 손으로 만져보고 환자가 압통을 호소하는

모습에서 얻는 정보는 비교적 객관적이죠. ^^ 그래서 복모혈이 진단점이자 치료점이 된다고 하는것입니다.

#. 여기까지가 체간부위이고 다음부터는 사지부위입니다.

사지부위는 거의 노선의 설명에 해당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혈위에 대한 의미도 들어 있습니다.

4. ‘하순로내, 행소음심주지전, 하주중~’

비교적 노선을 알려주는 부분이고 “하주중” 이 글귀가 중요합니다.

하주중..이라고 설명하는 부분에 척택혈이 있습니다. 우리고 보통 척택혈의 위치를 곡지 곡택혈의 중간정도로

이해하는게 대부분인데 오히려 주관절 내측의 거의 중앙이라고 보는게 맞습니다. 즉 이두박근건의 외측에서

척택혈을 찾아야 한다는것이지요 ^^

5. ‘순비내, 상골하렴,입촌구~’

역시 지나가는 노선을 설명해 주며 맥진을 할때 잡는 촌관척 부위에 대한 설명을 해줍니다.

즉 촌구 라고 명명한 부분이 경거,태연혈을 의미합니다.

6. ‘상어, 순어제,출대지단. 기지자, 종완후직출차지내렴,출기단~’

어제혈 부위를 따라 소상혈에서 끝나며 그 가지가 검지를 따라 상양으로 간다는 내용입니다.

자, 그런데 좀 이상한점이 폐경이라면 왜 기관이나 기관지 인후부위 비강 코.. 부위에는 수태음폐경이

지나가지 않을까요…? 방금 언급한 부위가 우리가 보통 폐계통이라고 부르는 부위입니다.

유주에 보면 “종폐계~” 어쩌구 저쩌구 나오잖아요. ^^ 옛날 분들은 폐계통이라면 당연히 위에서 말한

부위를 생각했었기에 굳이 일일이 나열하지 않았던것 같습니다.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

주 01)에서 시작되어 하행(下行)하여 대장에 연결되고 다시 상행하여 횡격막을 지난 다음 폐에 들어갔다가 후두부에 이른다. 이어서 겨드랑이 아래로 나와 팔 안쪽의 앞부분을 따라 엄지의 안쪽 손톱 옆으로 나온다. 십이정경(十二正經) 중 수부삼음경(手部三陰經)의 하나이다. 수태음폐경은 중초(中焦) 에서 시작되어 하행(下行)하여 대장에 연결되고 다시 상행하여 횡격막을 지난 다음 폐에 들어갔다가 후두부에 이른다. 이어서 겨드랑이 아래로 나와 팔 안쪽의 앞부분을 따라 엄지의 안쪽 손톱 옆으로 나온다.

한편 별도로 손목의 요골(橈骨)돌기에서 식지(食指)의 엄지 쪽 말단으로 흘러 대장경으로 이어진다. 수태음폐경은 폐 및 대장·횡격막·위·신 등과 관계가 있다.

소속경혈은 순행경로에 따라 중부(中府)·운문(雲門)·천부(天府)·협백(俠白)·척택(尺澤)·공최(孔最)·열결(列缺)·경거(經渠)·태연(太淵)·어제(魚際)·소상(少商) 등이 있다.

자주 쓰이는 경혈(經穴) 중에 척택은 팔굽 안쪽에서 가로로 나와 있는 횡문(橫紋)의 말단 부위에서 약간 안쪽(5분쯤)에 있는 경혈로서 해수와 객혈 및 인후부의 종통(腫痛), 그리고 팔굽 주위 관절의 동통에 사용한다.

공최는 팔목 안쪽 상방으로 7촌 되는 부위로서 척택혈과 태연혈을 이은 선 위에 있는 경혈로 편도선염·치질·탈항(脫肛) 및 팔꿈치 주위의 통증 등에 효과가 있다. 열결은 요골 외측돌기 상방으로,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교차하였을 때 검지 끝이 닿는 부위로 두통·해수·감기·편도선염·구안와사(口眼喎斜) 등에 효과가 있다.

태연은 열결 아래 1촌 부위로 팔목 안쪽 위에 동맥이 뛰고 있는 곳으로 백일해·기관지염·천식·흉막염·두통 및 치통에 쓰이고, 소상은 엄지손톱뿌리의 외측 1푼 부위에 있는 경혈로 인통(咽痛)·편도선염·발열·혼수 등에 효과가 있다.

수태음폐경유주[手太陰肺經流注]

수태음폐경 유주 [手太陰肺經流注]

– 소생병(所生病)은 기침이 나고 숨이 차서 헐떡거리고 답답하며 가슴이 그득하고 팔죽지와 팔뚝의 안쪽 앞이 아프고 차며 손바닥이 단다. 이 경맥의 기가 실하면 어깨와 잔등이 아프며 풍한이 침입하여 기가 실하여지면 땀이 나고 중풍으로 기가 실하여지면 오줌이 잦으며 하품을 한다.

기가 허하면 어깨와 잔등이 아프고 시리며 숨을 제대로 쉴 수 없다. 기가 실할 때에는 촌구맥이 인영맥보다 3배나 크며 허할 때에는 도리어 촌구맥이 인영맥(人迎脈)보다 작다[영추].

– 이 경맥의 경기는 매일 아침 인시(새벽 3~5시)에 중부혈에서 시작하여 팔뚝을 따라 내려가 소상혈에 가서 끝난다[입문]

主治 : 胸,喉,肺疾患,發熱病,全身氣血壅滯,小便不利

※ 경맥의 병에는 시동병과 소생병이 있다는 데 대하여[脈病有是動有所生病]

『난경』에는 경맥에 시동병(是動病)이 있고 소생병(所生病)이 있다는 데 한 경맥에 갑자기 두 개의 병이 생기는가고 하였다.

그것은 『내경』에 “시동병은 기병이고 소생병은 혈병이다”라고 한 것과 같이 사기가 기에 있으면 시동병이 되고 사기가 혈에 있으면 소생병이 된다.

기는 숨쉬는 것을 주관하고 혈은 축이는 것을 주관하는데 기가 머물러 있으면서 돌아가지 못하면 기가 먼저 병이 들고 혈이 막히어 축여 주지 못하면 혈이 후에 병이 된다.

그러므로 먼저 시동병이 되고 다음에 소생병이 된다.

수 태음 폐경 유주 | 수태음폐경의 유주와 순행. 우발행 동양의학 입문. 경락경혈학 최근 답변 54개

We are using cookies to give you the best experience on our website.

You can find out more about which cookies we are using or switch them off in settings.

영추ㆍ경맥편 수태음폐경 유주의 한글번역에 대한 고찰

타입을 선택하세요 :

타입을 선택하세요 : BibTex RIS APA Harvard MLA Vancouver Chicago ACS AMA NLM IEEE

@article{ART002145594,

author={정혜진 and 임사비나},

title={영추ㆍ경맥편 수태음폐경 유주의 한글번역에 대한 고찰},

journal={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issn={2287-3368},

year={2016},

volume={33},

number={3},

pages={114-120},

doi={10.14406/acu.2016.015},

url={https://doi.org/10.14406/acu.2016.015}

}

TY – JOUR

AU – 정혜진

AU – 임사비나

TI – 영추ㆍ경맥편 수태음폐경 유주의 한글번역에 대한 고찰

T2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JO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PY – 2016

VL – 33

IS – 3

PB – 경락경혈학회

SP – 114

EP – 120

SN – 2287-3368

AB – Objectives : It aims to establish a basic rule in Korean translation of the pathway of lung meridian in Miraculous Pivot · Meridian vessel. Based on the rule, We tried to make standard translation of the pathway of lung meridian in Miraculous Pivot · Meridian vessel. Methods : Books needed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searching Kyunghee University Library(http:// khis.khu.ac.kr). Keywords included “Miraculous Pivot of Huangdi’s Internal Classic”. We also include the book which is generally used as a textbook in Colleges of Korean Medicine. Results : In five Chinese books, the word-spacing was used differently in four phrases. Six Korean-translated books had the different translation in three phrases. We suggested a standard Korean translation of the pathway of lung meridian in Miraculous Pivot · Meridian vessel. Conclusions : This result of the study would be expected to not only be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but be studied more about Korean translation by experts in this field.

KW – lung meridian, Korean translation, Miraculous Pivot, Meridian vessel

DO – 10.14406/acu.2016.015

UR – https://doi.org/10.14406/acu.2016.015

ER –

정혜진 and 임사비나. (2016). 영추ㆍ경맥편 수태음폐경 유주의 한글번역에 대한 고찰.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33(3), 114-120.

정혜진 and 임사비나. 2016, “영추ㆍ경맥편 수태음폐경 유주의 한글번역에 대한 고찰”,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33, no.3 pp.114-120. Available from: doi:10.14406/acu.2016.015

정혜진, 임사비나 “영추ㆍ경맥편 수태음폐경 유주의 한글번역에 대한 고찰”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33.3 pp.114-120 (2016) : 114.

정혜진, 임사비나. 영추ㆍ경맥편 수태음폐경 유주의 한글번역에 대한 고찰. 2016; 33(3), 114-120. Available from: doi:10.14406/acu.2016.015

정혜진 and 임사비나. “영추ㆍ경맥편 수태음폐경 유주의 한글번역에 대한 고찰”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33, no.3 (2016) : 114-120.doi: 10.14406/acu.2016.015

정혜진; 임사비나. 영추ㆍ경맥편 수태음폐경 유주의 한글번역에 대한 고찰.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33(3), 114-120. doi: 10.14406/acu.2016.015

정혜진; 임사비나. 영추ㆍ경맥편 수태음폐경 유주의 한글번역에 대한 고찰.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2016; 33(3) 114-120. doi: 10.14406/acu.2016.015

정혜진, 임사비나. 영추ㆍ경맥편 수태음폐경 유주의 한글번역에 대한 고찰. 2016; 33(3), 114-120. Available from: doi:10.14406/acu.2016.015

수 태음 폐경 유주 | 수태음폐경의 유주와 순행. 우발행 동양의학 입문. 경락경혈학 10143 명이 이 답변을 좋아했습니다

We are using cookies to give you the best experience on our website.

You can find out more about which cookies we are using or switch them off in settings.

수태음폐경 – 한의위키

개요

수태음폐경은 열 두 정경 중 하나로, 열 두 정경 중 첫 경락이다. 수양명대장경과는 표리관계이고, 주로 호흡기계의 질환을 치료한다.

유주

肺手太陰之脈 起於中焦 下絡大腸 還循胃口 上膈屬肺 從肺系 橫出腋下 下循臑內 行少陰心主之前 下肘中 循臂內上骨下廉 入寸口 上魚 循魚際 出大指端 其支者 從腕後 直出次指內廉 出其端 . 1. 中焦(中脘)에서 시작하여, 아래로 내려가 大腸을 絡하고 2. 다시 위의 憤門(下脘·上脘)을 따라 3. 횡격막을 뚫고 올라가 4. 肺에 소속되고 다시 氣管을 따라 올라가 喉頭를 돌아 橫行하여 (中府)에서 脾經과 交會하고 5. 옆 겨드랑이 밑(天府)으로 내려와 6. 上膊 안쪽을 따라 手少陰과 手厥陰 두 경맥의 앞쪽을 지나 7. 팔꿈치(尺澤) 가운데를 내려가 8. 팔뚝의 안쪽을 따라 내려가 9. 손목의 요골경상돌기의 옆으로 와(經渠·太淵) 10. 寸口 (魚際)를 따라 11. 엄지손가락(少商)으로 나간다. 12. 그 分枝는 손목 위(列缺)에서 집게 손가락의 안쪽 끝으로 나가 手陽明大腸經과 연접된다.

시동병

是動則病肺脹滿膨膨而喘咳缺盆中痛甚則交兩手而惵此謂臂厥是主肺 시동병(是動病)은 폐가 몹시 불어나서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며 결분(缺盆) 속이 아프고 심하면 두 손을 마주 잡고 정신이 아찔해진다. 이것을 비궐(臂厥)이라고 하는데 주로 폐와 관련된 병이다.

소생병

所生病者咳嗽上氣喘喝煩心胸滿娼臂內前廉痛厥掌中熱氣盛有餘則肩背痛風寒汗出中風小便數而欠氣虛則肩背痛寒少氣不足以息盛者寸口大三倍於人迎虛者則寸口反小於人迎也 소생병(所生病)은 기침이 나고 숨이 차서 헐떡거리고 답답하며 가슴이 그득하고 팔죽지와 팔뚝의 안쪽 앞이 아프고 차며 손바닥이 단다. 이 경맥의 기가 실하면 어깨와 잔등이 아프며 풍한이 침입하여 기가 실하여지면 땀이 나고 중풍으로 기가 실하여지면 오줌이 잦으며 하품을 한다. 기가 허하면 어깨와 잔등이 아프고 시리며 숨을 제대로 쉴 수 없다. 기가 실할 때에는 촌구맥이 인영맥보다 3배나 크며 허할 때에는 도리어 촌구맥이 인영맥(人迎脈)보다 작다.

수태음폐경의 혈

1. 중부 2. 운문 3. 천부 4. 협백 5. 척택 6. 공최 7. 열결 8. 경거 9. 태연 10. 어제 11. 소상

수태음폐경의 주치

호흡기계의 질병, 폐경의 유주에 있는 질병을 치료한다. 특히 해수, 천식, 단기, 해혈 등에 효과가 좋다.

중부 ~ 운문

흉폐질환

천부 ~ 소상

흉폐질환, 인후부질환, 발열병 및 팔의 질환

키워드에 대한 정보 수 태음 폐경 유주

다음은 Bing에서 수 태음 폐경 유주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수태음폐경의 유주와 순행. 우발행 동양의학 입문. 경락경혈학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수태음폐경의 #유주와 #순행. #우발행 #동양의학 #입문. #경락경혈학


YouTube에서 수 태음 폐경 유주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수태음폐경의 유주와 순행. 우발행 동양의학 입문. 경락경혈학 | 수 태음 폐경 유주,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