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 태음 폐경 | 10.수태음폐경 상위 72개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수 태음 폐경 – 10.수태음폐경“?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foci.com.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ppa.foci.com.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동방문화원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8,994회 및 좋아요 105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수 태음 폐경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10.수태음폐경 – 수 태음 폐경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동방문화(철학, 인문학, 명리, 풍수, 한의학)를 배울 수 있는 교육서비스입니다.

수 태음 폐경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십이정경(十二正經) 중 수부삼음경(手部三陰經)의 하나이다. 수태음폐경은 중초(中焦)주 01)에서 시작되어 하행(下行)하여 대장에 연결되고 다시 상행하여 횡격막을 …

+ 더 읽기

Source: encykorea.aks.ac.kr

Date Published: 10/24/2021

View: 1128

수태음폐경 (Lung Meridian, LU) –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

수태음폐경 (Lung Merian, LU). 표준경혈 DB 홈. LU1 중부 (中府); LU2 운문 (雲門); LU3 천부 (天府); LU4 협백 (俠白); LU5 척택 (尺澤); LU6 공최 (孔最)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kmcric.com

Date Published: 12/1/2022

View: 7723

[스크랩] 수태음폐경 이해하기 – Daum 블로그

수태음폐경 근이 병이 들면 본경의 근이 지나가는 부위에 지지작용이 약해져 당김, 경력, 동통이 발생한다. 심하면 식분증[오적병의 하나 폐적에 속한다.

+ 여기에 표시

Source: blog.daum.net

Date Published: 12/16/2021

View: 9605

수태음폐경 (手太陰肺經) 소속 11경혈의 혈성 (穴性) 에 대한 …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1991;8(1): 109-124. 수태음폐경 (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e-jar.org

Date Published: 12/12/2021

View: 6208

영추ㆍ경맥편 수태음폐경 유주의 한글번역에 대한 고찰

영추ㆍ경맥편 수태음폐경 유주의 한글번역에 대한 고찰 A Study on Korean Translation of the Pathway of Lung Merian in Miraculous PivotㆍMerian Vessel.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kci.go.kr

Date Published: 5/6/2022

View: 4860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 좌우 모두 22개 혈)

○ 이 경맥의 경기는 매일 아침 인시(새벽 3-5시)에 중부혈에서 시작하여 팔뚝을 따라 내려가 소상혈에 가서 끝난다[입문].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 좌우 …

+ 더 읽기

Source: docstory.tistory.com

Date Published: 6/17/2021

View: 8589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 –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 The lung merian of hand-Taiyin. The lung merian pertains to the lung and connects with the large intestine.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herba.kr

Date Published: 12/8/2022

View: 4090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수 태음 폐경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10.수태음폐경.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10.수태음폐경
10.수태음폐경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수 태음 폐경

  • Author: 동방문화원
  • Views: 조회수 8,994회
  • Likes: 좋아요 105개
  • Date Published: 2017. 6. 22.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VY6d0O5Vzrk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

주 01)에서 시작되어 하행(下行)하여 대장에 연결되고 다시 상행하여 횡격막을 지난 다음 폐에 들어갔다가 후두부에 이른다. 이어서 겨드랑이 아래로 나와 팔 안쪽의 앞부분을 따라 엄지의 안쪽 손톱 옆으로 나온다. 십이정경(十二正經) 중 수부삼음경(手部三陰經)의 하나이다. 수태음폐경은 중초(中焦) 에서 시작되어 하행(下行)하여 대장에 연결되고 다시 상행하여 횡격막을 지난 다음 폐에 들어갔다가 후두부에 이른다. 이어서 겨드랑이 아래로 나와 팔 안쪽의 앞부분을 따라 엄지의 안쪽 손톱 옆으로 나온다.

한편 별도로 손목의 요골(橈骨)돌기에서 식지(食指)의 엄지 쪽 말단으로 흘러 대장경으로 이어진다. 수태음폐경은 폐 및 대장·횡격막·위·신 등과 관계가 있다.

소속경혈은 순행경로에 따라 중부(中府)·운문(雲門)·천부(天府)·협백(俠白)·척택(尺澤)·공최(孔最)·열결(列缺)·경거(經渠)·태연(太淵)·어제(魚際)·소상(少商) 등이 있다.

자주 쓰이는 경혈(經穴) 중에 척택은 팔굽 안쪽에서 가로로 나와 있는 횡문(橫紋)의 말단 부위에서 약간 안쪽(5분쯤)에 있는 경혈로서 해수와 객혈 및 인후부의 종통(腫痛), 그리고 팔굽 주위 관절의 동통에 사용한다.

공최는 팔목 안쪽 상방으로 7촌 되는 부위로서 척택혈과 태연혈을 이은 선 위에 있는 경혈로 편도선염·치질·탈항(脫肛) 및 팔꿈치 주위의 통증 등에 효과가 있다. 열결은 요골 외측돌기 상방으로,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교차하였을 때 검지 끝이 닿는 부위로 두통·해수·감기·편도선염·구안와사(口眼喎斜) 등에 효과가 있다.

태연은 열결 아래 1촌 부위로 팔목 안쪽 위에 동맥이 뛰고 있는 곳으로 백일해·기관지염·천식·흉막염·두통 및 치통에 쓰이고, 소상은 엄지손톱뿌리의 외측 1푼 부위에 있는 경혈로 인통(咽痛)·편도선염·발열·혼수 등에 효과가 있다.

<일러두기>

이곳의 모든 포스팅은 다른 곳으로 무단전재하지 말기를 바라며, 어떤 경우든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경혈 그림은 현재 인터넷에 널리 퍼진 자료들을 참고하였습니다. 저자와 출판사 등을 밝히는 것이 당연한 도리이나 대부분 출처를 확인할 길이 없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텍스트는 『황제내경黃帝內經 소문素門』, 『황제내경黃帝內經 영추靈樞』, 『난경難經』, 『갑을경甲乙經(침구갑을경)』, 『침경針經(침구대성)』, 『침구자생경鍼灸資生經(자생)』, 『동인수혈침구도경銅人兪穴鍼灸圖經(동인)』, 『침구혈명해鍼灸穴名解』, 『의학입문醫學入門』 등에서 발췌된 것들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발간물과 자료들이 더해졌습니다.

사용된 그림과 텍스트에 대해 후학으로서 무한한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올리는 것으로 사전 양해를 구하지 못한 죄송스러움을 갈음합니다.

——————————————————————————————————————————-

수태음폐경 手太陰肺經 (LU) Lung Meridian

≪황제내경黃帝內經≫에 “肺者는 相符之官이요 治節出焉이며, 氣之本이요 魄之處”라 했다. 폐는 모든 장부 가운데 가장 높은 곳(최고위最高位)에 있으나 군주격은 되지 못하고 군주지관君主之官인 심장을 감싸고 있으므로 군왕의 스승, 재상에 비유하여 상부지관이라 했으며 폐가 몸의 기氣를 주관하는 장부로 보았다. 관절의 이상을 기의 소통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는 것과 사람의 영靈 가운데 넋魄을 담고 있는 것이 폐임을 말하고 있다.

음(陰)에 속하고 오행속성상 금경金經인 폐경肺經에는 인체의 좌우로 11개씩의 경혈이 분포되어 있으며 어깨 앞쪽 중부中府에서 시작하여 엄지손가락의 소상少商에서 끝난다.

본경은 폐(肺)에 속(屬)하고 대장(大腸)에 낙(絡)하며 색(色)은 백(白) 발주시간은 인시(寅時 오전 3시~5시)이다.

주요혈 오수혈

原穴 – 太淵 井木金 – 少商

絡穴 – 列缺 滎火穴 – 魚際

郄穴 – 孔最溫 輸土穴 – 太淵

母穴 – 中府 經金穴 – 經渠

背兪穴 – 肺兪 合水穴 – 尺澤

*

主幹

중완(中脘) 기시 → 대장(大腸) 낙 → 위구(胃口) 순환 → 폐(肺) 속屬 → 인후 → 흉부(中府) → 상지내측 전연 → 어제 → 엄지손가락 끝(소상 少商)

分枝

손목 위 열결(列缺)에서 갈라져 → 둘째손가락 내측(상양 商揚) → 수양명 대장경 교접

○ 유주 설명

폐경은 상복부 중초(中焦)에 있는 위부(胃部) 즉 중완(中脘)에서 시작하여 대장(大腸)에 낙하고

다시 올라가 위구(胃口)[유문幽門, 분문噴門]를 돌아 횡경막을 뚫고 올라가 肺에 속屬한다.

다시 폐로부터 나와 인후咽喉와 폐계肺系를 돌아 흉부외상방의 중부로 나와 겨드랑이 밑에 이른다.

여기서 옆으로 흘러 상완내측전연을 따라 하행해서 수소음경과 수궐음경 두경의 전연前緣을 지나 팔꿈치 안쪽 척택尺澤에 이른다.

전완내측 요측연撓側緣을 지나 손목 맥 뛰는 자리인 촌구로 들어가 어제魚際를 지나 엄지손가락 안쪽 끝 소상少商에 이른다.

지맥은 손목 위 열결列缺에서 갈라져 둘째손가락으로 주행하여 상양商揚에서 수양명대장경으로 이어진다.

○ 주요병증

– 경락병증(시동병始動病)

폐경(肺經)의 기가 넘치거나 모자라면 가슴이 가득 찬 듯 답답하고, 폐기가 통하지 않아 숨이 가쁘면서 기침이 나고, 결분(缺盆)부위가 쑤시고 아프며 심하면 양손으로 가슴을 감싸 안으며 시야가 흐리다 이를 비궐(臂厥)이라 한다.

– 장부병증(소생병所生病)

肺腑에 병이 들면 폐경에 있는 혈들에도 그 울림이 나타난다. 또한 기침이 나고 기氣가 상역上逆하여 천식喘息이 나며 목이 잠기고 심번心煩․흉만胸滿이 나타나며, 팔의 안쪽이 아프면서 차갑고 손바닥에 열이 난다. 폐기肺氣가 남아돌면(항진되면) 견배부肩背部에 통증이 오고 소변이 잦으면서 량量이 감소된다. 폐기肺氣가 허虛하면 견배부肩背部가 아프고 차갑게 느껴지며 숨이 차고 소변색이 변한다.

이와 같은 각종 병증을 치료할 때는 성盛하면 사瀉하고 허虛하면 보補하며, 열증熱證에는 속자법速刺法을 사용하고 한증寒證에는 류침법留鍼法을 사용하며, 맥脈이 허虛하여 하함下陷하면 구법灸法을 사용하고 실實하지도 허虛하지도 않으면 본경本經을 취取해야 한다.

본경本經의 기氣가 성盛하면 촌구맥寸口脈이 인영맥人迎脈보다 세배가 크게 뛰며, 허虛하면 촌구맥寸口脈이 도리어 인영맥人迎脈보다 작게 뛴다.

○ 수태음경별手太陰經別

경별 분포 이離, 입入 흉복부胸腹剖 출出 합合 수양명 견우, 쇄돌 아래 대장, 폐 결분 수양명 수태음 겨드랑이 폐, 대장 순행설명 수태음정경은 겨드랑이 아래 연액淵腋 부위, 수소음심경 앞쪽에서 별도로 갈라져 폐(肺)로 들어간 후 대장으로 퍼지며 위로 올라가 결분缺盆으로 나온 후 목구멍(후롱喉曨)을 따라 다시 수양명경별과 합한다. 이것이 육합이다.

○ 수태음락맥手太陰絡脈

– 순행

1) 수태음락맥은 열결列缺에서 분출한다.

2) 손목위에서 하행하면서 수양명경으로 주행한다.

3) 지맥은 수태음 본경과 병행하여 손바닥으로 들어가 어제 부위에 퍼진다.

– 주요병증

실증實證 : 손목 바깥쪽의 고골에서 손바닥에 열이 난다.

허증虛證 : 입을 크게 벌리고 하품을 자주하며 소변을 참지 못하거나 소변이 잦다.

이를 치료할 때는 손목에서 1.5촌 떨어진 부위인 낙혈인 열결을 취해야 하며 본락本絡은 이곳에서 갈라져 수양명대장경으로 주행한다.

○ 수태음경근手太陰經筋

1) 엄지손가락에서 시작하여

2) 손가락을 따라 상행하여 어제 뒤에서 결結한 후

3) 촌구 외측을 따라 상행하여 전완(前腕-팔뚝 앞쪽)을 지나 주중(肘中-팔꿈치 가운데)에서 결한다.

4) 다시 상완내측을 지나 겨드랑이(액腋)로 들어가서

5) 결분으로 나와 견우 앞에서 결한 후

6) 다시 결분에서 결하여

7) 하행하여 흉중에서 결하고

8) 흩어져서 횡격막을 뚫고 횡격막 바로 아래에서 회합(會合)하여 계협(季脇-갈빗대 끝)에 이어진다.

주요병증

수태음폐경 근이 병이 들면 본경의 근이 지나가는 부위에 지지작용이 약해져 당김, 경력, 동통이 발생한다. 심하면 식분증[오적병의 하나 폐적에 속한다. 우협하右脇下에 술잔과 같은 결괴結塊가 발생하고 기가 상역하여, 발열오한․구역․해수․토혈 등의 증상을 수반한다.]이 발행하여 협하脇下가 당기고 토혈吐血이 발생한다.

○ 수태음피부手太陰皮剖

– 순행

수태음폐경의 체표 순행부위는 상지의 내측전연을 따라 넓게 분포되어 있다.

– 임상의의

태음경의 음락(蔭絡)을 ‘관칩關蟄[태음이 폐장하는 작용이 있어 음기가 외부로 새어나가지 못하게 함]이라고 하는데, 수족태음경의 진찰법이 같으며 그 부위를 살펴서 부락浮絡이 있으면 모두 태음경의 낙맥絡脈이 된다. 낙맥에 사기가 성하면 경맥으로 전변된다.

○ 經穴의 흐름

겨드랑이 밑에서 1.중부(中府 쇄골하 오훼돌기 내연 모혈募穴)로 나와 → 2.운문(雲門) → 팔앞면의 안쪽인 → 3.천부(天府 액하 3촌 상완이두근 외측연) → 4. 협백(俠白 액하 4촌, 상완이두근 외측연) 으로 흘러 → 팔꿈치 안쪽 5.척택(尺澤)에 이르고 → 6.공최(孔最 척택하 5촌, 郄穴)를 거쳐 → 팔의 엄지쪽 요골 가장자리로 해서 팔목 맥 뛰는 자리인 7.열결(列缺 태연상 1.5, 絡穴) → 8.경거(經渠 태연상 1) → 9. 태연(太淵)으로 들어감 → 다시 10.어제(魚際)를 지나 → 엄지손가락의 안쪽 끝인 11.소상(少商)에 이른다.

인시(寅時)에는 자리에서 일어나라

새벽 3시30분부터 5시30분까지는 폐의 기운이 왕성한 시간이다.

폐는 호흡을 하는 기관이므로 이 시간에는 잠에서 깨어나 호흡을 하고 움직이기 시작해야한다. 눈을 뜸으로 인해서 본격적인 호흡이 시작되고, 호흡이 시작됨으로 인해서 전신에 기운을 골고루 전달시켜 주게 된다. 폐 기능이 왕성한 사람일수록 이 시간에 잠을 깨게 되며, 또한 이 시간에 일어나는 습관을 들이면 폐기능이 왕성해진다.

호흡이 시작되면서 우리 몸은 외부의 찬 공기를 받아들이게 된다. 이때, 잠에서 깨어나 본격적인 호흡을 시작함과 동시에 우리의 피부 바깥은 위기(衛氣)로 둘러싸이게 된다. 위기라는 것은 외부의 찬 공기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기운이다. 따라서 이때부터 우리의 피부는 긴장상태를 유지하여 스스로를 보호하게 된다. 이 위기는 우리 몸의 활동이 왕성한 미시(未時) 말(오후 3시30분)까지 피부를 보호하다가 신시(申時)가 되면 다시 피부 속으로 숨어버리게 된 다. 마치 아침에 눈을 뜸과 동시에 피부를 지키는 방위병들이 출근하였다가 하루 일을 끝마치고 철수하는 것처럼, 위기는 우리가 아침에 잠에서 깨었을 때부터 피부 밖으로 나와 피부를 보호하다가 오후 3시 30분 경이 되면 피부 밑으로 들어가 버리는 것이다. 따라서 오후 3시 30분을 지난 신시부터는 적당히 휴식을 취해줘야 하며 몸을 따뜻하게 해야 한다. 신시, 곧 오후 3시 30분 이후부터 몸이 피곤한 것은 병이 아니며, 긴장이 풀어짐으로써 자연스럽게 생기는 생리적 피로라 할 수 있다. 이 시간 이후부터 찬 바람을 많이 쐬거나 무리하게 일을 하면 건강에 해롭다.

피부 관리의 측면에서 보면, 아침에 일어나서 미시 말까지는 피부가 긴장상태에 있으므로 이 시간에는 피부병에 잘 걸리지 않는다. 그러나 폐기능이 약한 사람은 피부를 보위하는 위기 또한 그 기능이 저하되므로 특별히 피부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즉 찬 바람이나 강렬한 햇볕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항상 따뜻하고 촉촉한 기운이 유지되도록 힘써야 한다.

한편, 위기가 피부 밑으로 들어간 신시(오후 3시30분 이후)부터는 피부의 긴장이 풀어지고 약해진 상태이므로 충분히 휴식을 취해주고 찬바람을 피하며 마사지나 영양 공급 등의 피부관리를 해 주는 것이 좋다. 또한 인시에는 폐기능이 왕성한 동시에 담.소장.위장 등의 장기(贓器)들이 함께 조금씩 움직이기 시작하므로 정신이 맑고 조금씩 식욕이 당기기 시작한다. 아울러 호흡이 시작됨으로 인해 대장이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한다.

출처 : 리모델링중.. 조만간 찾아뵐게요

글쓴이 : 하여 원글보기 : 하여

메모 :

영추ㆍ경맥편 수태음폐경 유주의 한글번역에 대한 고찰

타입을 선택하세요 :

타입을 선택하세요 : BibTex RIS APA Harvard MLA Vancouver Chicago ACS AMA NLM IEEE

@article{ART002145594,

author={정혜진 and 임사비나},

title={영추ㆍ경맥편 수태음폐경 유주의 한글번역에 대한 고찰},

journal={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issn={2287-3368},

year={2016},

volume={33},

number={3},

pages={114-120},

doi={10.14406/acu.2016.015},

url={https://doi.org/10.14406/acu.2016.015}

}

TY – JOUR

AU – 정혜진

AU – 임사비나

TI – 영추ㆍ경맥편 수태음폐경 유주의 한글번역에 대한 고찰

T2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JO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PY – 2016

VL – 33

IS – 3

PB – 경락경혈학회

SP – 114

EP – 120

SN – 2287-3368

AB – Objectives : It aims to establish a basic rule in Korean translation of the pathway of lung meridian in Miraculous Pivot · Meridian vessel. Based on the rule, We tried to make standard translation of the pathway of lung meridian in Miraculous Pivot · Meridian vessel. Methods : Books needed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searching Kyunghee University Library(http:// khis.khu.ac.kr). Keywords included “Miraculous Pivot of Huangdi’s Internal Classic”. We also include the book which is generally used as a textbook in Colleges of Korean Medicine. Results : In five Chinese books, the word-spacing was used differently in four phrases. Six Korean-translated books had the different translation in three phrases. We suggested a standard Korean translation of the pathway of lung meridian in Miraculous Pivot · Meridian vessel. Conclusions : This result of the study would be expected to not only be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but be studied more about Korean translation by experts in this field.

KW – lung meridian, Korean translation, Miraculous Pivot, Meridian vessel

DO – 10.14406/acu.2016.015

UR – https://doi.org/10.14406/acu.2016.015

ER –

정혜진 and 임사비나. (2016). 영추ㆍ경맥편 수태음폐경 유주의 한글번역에 대한 고찰.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33(3), 114-120.

정혜진 and 임사비나. 2016, “영추ㆍ경맥편 수태음폐경 유주의 한글번역에 대한 고찰”,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33, no.3 pp.114-120. Available from: doi:10.14406/acu.2016.015

정혜진, 임사비나 “영추ㆍ경맥편 수태음폐경 유주의 한글번역에 대한 고찰”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33.3 pp.114-120 (2016) : 114.

정혜진, 임사비나. 영추ㆍ경맥편 수태음폐경 유주의 한글번역에 대한 고찰. 2016; 33(3), 114-120. Available from: doi:10.14406/acu.2016.015

정혜진 and 임사비나. “영추ㆍ경맥편 수태음폐경 유주의 한글번역에 대한 고찰”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33, no.3 (2016) : 114-120.doi: 10.14406/acu.2016.015

정혜진; 임사비나. 영추ㆍ경맥편 수태음폐경 유주의 한글번역에 대한 고찰.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33(3), 114-120. doi: 10.14406/acu.2016.015

정혜진; 임사비나. 영추ㆍ경맥편 수태음폐경 유주의 한글번역에 대한 고찰.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2016; 33(3) 114-120. doi: 10.14406/acu.2016.015

정혜진, 임사비나. 영추ㆍ경맥편 수태음폐경 유주의 한글번역에 대한 고찰. 2016; 33(3), 114-120. Available from: doi:10.14406/acu.2016.015

키워드에 대한 정보 수 태음 폐경

다음은 Bing에서 수 태음 폐경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10.수태음폐경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10.수태음폐경


YouTube에서 수 태음 폐경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10.수태음폐경 | 수 태음 폐경,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미국식 중국 요리 | 미국식 짜장면 \U0026 탕수육 모든 답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