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 한글 이름 | 예쁜 우리말 이름 모음 – 뜻이 좋은 순우리말 모음,한글 이름 짓기,순 우리말 사전,우리말 좋은 뜻,뜻이 예쁜 순우리말 단어,순우리말 모음,한글 이름 추천,순수 우리말 이름 추천 132 개의 자세한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순수 한글 이름 – 예쁜 우리말 이름 모음 – 뜻이 좋은 순우리말 모음,한글 이름 짓기,순 우리말 사전,우리말 좋은 뜻,뜻이 예쁜 순우리말 단어,순우리말 모음,한글 이름 추천,순수 우리말 이름 추천“?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foci.com.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ppa.foci.com.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sketchno-스케치노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9,532회 및 좋아요 59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순수 한글 이름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예쁜 우리말 이름 모음 – 뜻이 좋은 순우리말 모음,한글 이름 짓기,순 우리말 사전,우리말 좋은 뜻,뜻이 예쁜 순우리말 단어,순우리말 모음,한글 이름 추천,순수 우리말 이름 추천 – 순수 한글 이름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유익한 자료모음 https://www.youtube.com/watch?v=MXywVUoYFpM\u0026list=PLXQfeq42EV1Qt4ZGcSKoyyK2TsJ2DgPZv
예쁜 순 우리말 https://youtu.be/iA_JcjJ-VBw

순수 한글 이름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예쁜 한글이름 순우리말 이름 정리 ! 뜻도 함께 – 네이버 블로그

흔하지 않고 우리말이라서 더욱 예쁜 순우리말이름들. 한글 자음순으로 정리했는데요. 혹시나 모를 미래의 준우 동생의 이름을 지을때도 너무 유용할것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1/27/2022

View: 446

순우리말 이름 – 나무위키:대문

더욱이 순우리말에서 유래한 이름이면서도 한자어 이름으로서도 뜻이 있게끔 복합적으로 작명한 경우도 있고, 한자어로 이름을 지었으나 공식 한자 표기를 …

+ 여기에 보기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2/25/2022

View: 7236

아름답고 예쁜 순 우리말 이름 모음 (남여, ㄱ – ㅎ) – Bluemountain

난슬 : ‘빼어난 슬기’를 줄여 다듬은 이름. 날샘 : 언젠가 힘차게 솟아날 샘. 날애 : 날개의 방언 나래를 바꾸어 적은 이름. 남 : 나무 …

+ 여기를 클릭

Source: bluemountain.tistory.com

Date Published: 6/6/2022

View: 1568

순우리말 단어, 예쁜 순우리말 이름 추천

순우리말 단어, 예쁜 순우리말 이름 추천 … 가론: 말하기를, 이른 바(所謂). … 가온길: 정직하고 바른 가운데 (가온대: 옛말) 길로 살아가라고 지은 이름.

+ 더 읽기

Source: gungongmo.tistory.com

Date Published: 12/21/2021

View: 8637

순우리말이름 (ㅎ) – 정수역학연구소

해비치: 해 비치다 에서 따온 이름. 해사랑해: 해를 사랑해. 해샘찬: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sajuname.com

Date Published: 5/21/2022

View: 9581

순우리말 이름 예쁜 순수 한글이름 모음 – 정보의 바다

예쁜 순수 한글이름, 순우리말 이름 모음 우리나라 말과 한글의 아름다움을 제대로 느낄 수 있었던 게, 박경리 선생님의 소설 ‘토지’를 읽었을 때 …

+ 여기에 표시

Source: linsoo.tistory.com

Date Published: 9/6/2021

View: 7124

한양대학교 Hanyang University – [한글날, 순 우리말 이름의 …

한글날, 순 우리말 이름의 한양인을 찾습니다] 566돌 한글날을 맞이해, ‘순 우리말’ 이름의 한양인을 찾습니다. 댓글에 본인 이름 또는 친구의 이름(태그 걸어서)을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facebook.com

Date Published: 2/10/2021

View: 2344

순수 한글 이름, 예쁜 우리말 이름 정보 – 맛있는 이야기

순수 한글 이름, 예쁜 우리말 이름 정보. 아기가 태어나는 것은 집안의 큰 경사입니다. 집안의 보물에게 가장 먼저 하는 것은 바로 이름을 지어주는 …

+ 여기에 보기

Source: blogmvp.tistory.com

Date Published: 9/19/2021

View: 998

순우리말 이름 / 아름다운 한글 이름 / 사람 이름 – 비밀의 화원

성이 한씨일 경우 ‘한결’이란 이름이 된다.한결같다. •고은·고운 女/漢 : 고유어 ‘단어’가 아닌, 그냥 순우리말 이름이다. 이 이름을 듣는 사람들의 …

+ 더 읽기

Source: feel-name.tistory.com

Date Published: 4/8/2021

View: 1417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순수 한글 이름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예쁜 우리말 이름 모음 – 뜻이 좋은 순우리말 모음,한글 이름 짓기,순 우리말 사전,우리말 좋은 뜻,뜻이 예쁜 순우리말 단어,순우리말 모음,한글 이름 추천,순수 우리말 이름 추천.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예쁜 우리말 이름 모음 - 뜻이 좋은 순우리말 모음,한글 이름 짓기,순 우리말 사전,우리말 좋은 뜻,뜻이 예쁜 순우리말 단어,순우리말 모음,한글 이름 추천,순수 우리말 이름 추천
예쁜 우리말 이름 모음 – 뜻이 좋은 순우리말 모음,한글 이름 짓기,순 우리말 사전,우리말 좋은 뜻,뜻이 예쁜 순우리말 단어,순우리말 모음,한글 이름 추천,순수 우리말 이름 추천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순수 한글 이름

  • Author: sketchno-스케치노
  • Views: 조회수 9,532회
  • Likes: 좋아요 59개
  • Date Published: 2021. 9. 12.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MXywVUoYFpM

예쁜 한글이름 순우리말 이름 정리 ! 뜻도 함께 ~

안녕하세요 🙂 주누맘 으나입니다

저희 아가 이름 지을때 어찌나 고민이 많았는지 몰라요.

여러개 이름들 가운데 추리고 추려서 이름을 정했는데요.

그 중에 한글이름도 있었답니다 🙂

요즘 예쁜 한글이름 , 순우리말 이름 많이 지으시더라구요.

흔하지 않고 뜻도 의미가 있어 태명으로도 많이 사용하더라구요.

그래서 제가 많이 쓰이고 좋은 이름 모아모아 뜻과 함께 정리해보았답니다.

흔하지 않고 우리말이라서 더욱 예쁜 순우리말이름들. 한글 자음순으로 정리했는데요.

혹시나 모를 미래의 준우 동생의 이름을 지을때도 너무 유용할것 같아요 🙂

아름답고 예쁜 순 우리말 이름 모음 (남여, ㄱ – ㅎ)

아름다운 순 우리말로 이름 모음입니다. 주의해야할 것은 마음에 드는 이름을 고르시고, 꼭 제가 링크 연결한 국립국어원 우리말 사전에서 확인을 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도 많고, 우리말 사전에 등록이 되어 있지 않더라도 방언이나 고유어도 있어서 꼭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대부분은 맞지만 간혹 틀리는 것도 있을 수 있으니 참조만 하시기 바랍니다. 우리말 모음도 같이 링크를 걸어 놓았습니다.

[ㄱ]

가든 : “가볍고 단출하다”의 뜻인 “가든하다”에서 뿌리(어근)를 따온 이름.

가람 : 강의 옛말로, 영원히 흘러가는 업적을 남기는 사람이 되라는 뜻으로 지은 이름.

가람슬기 : 강(가람 : 옛말)처럼 푸르게, 그리고 슬기롭게.

가람휘 : 휘(곡식을 되는 그릇의 한 가지로 20말, 혹은 15말이 들어가 있다)에 강(가람 : 옛말)물을 가득 채울 수 있을 만큼 큰 그릇이 되라고.

가온 : 세상의 중심이 되라는 뜻으로, 가운데의 옛말 ‘가온대’에서 따서 지은 이름.

가온길 : 정직하고 바른 가운데(가온대 : 옛말) 길로 살아가라고 지은 이름.

가온누리 : 무슨 일이든 세상(누리 : 옛말)의 중심(가온대 : 옛말)이 되어라.

가온들찬빛 : 들 한가운데(가온대 : 옛말)에 빛이 가득찬.

가온뫼 : 가운데의 옛말 가온대의 가온과 산의 옛말 뫼를 합친 말로, 산 가운데에서도 가장 중심이 되는 산의 뜻을 담은 이름.

가온해 : 가운데(가온대 : 옛말) 해, 곧 세상의 제일이라는 뜻.

가이 : 반씨 성과 어울려 반갑다는 뜻.

가자 : 높은 이상을 향해 가자는 뜻에서.

갈 : 가을을 줄여 지은 이름.

거늘 : “출세하라”는 뜻에서 ‘거느리다’를 줄임.

거울 : 세상의 본보기가 되라는 뜻에서 물체를 되비쳐 주는 거울을 그대로 따옴.

겨라 : 의지적 인간이 되도록 하라는 의미에서 이씨 성과 어울려 지은 이름.

겨레 : 민족

겨루 : 지지 말고 살라는 뜻으로, ‘겨루다’에서 따옴.

겨슬 : 겨울 같은 어려움도 꿋꿋하게 이겨 나가라고. 겨울의 옛말 ‘겨슬’을 그대로 따옴.

그리 : ①그네의 옛말을 그대로 따서 지은 이름. ②’그리다’에서 따옴.

그린나래 : 그린 듯이 아름다운 날개(나래 : 방언).

글고운 : 고운 글처럼 살라고.

글길 : 글로써 삶의 길을 살아가라고.

기쁨해 : 남에게 기쁨을 주는 해처럼 살라는 뜻에서.

길 : ① 잘 살 수 있도록 인생의 앞길을 잘 닦으라는 뜻에서 지은 이름. ② 길이 없는 곳에 길을 만드는 사람이되라는 뜻에서 지은 이름.

길가온 : 길 가운데(가온대 : 옛말).

꽃가람 : 꽃이 있는 강(가람 : 옛말).

꽃내 : 꽃의 내음(향기).

꽃내음 : 꽃의 냄새.

꽃채운 : 꽃으로 가득 채운.

꽃초롱 : 꽃같이 생긴 초롱.

꽃큰 : 꽃처럼 예쁜게 크라는 뜻.

[ㄴ]

나길 : 나(자신)의 길을 꿋꿋이 걸어가라는 뜻.

나나 : 그냥 부드러운 소리를 그대로 따옴.

나라빛 : 빛나라.

나라우람 : 우람하고 씩씩하게 자라나라.

나라찬 : 참된 마음이 가득찬 사람으로 자라나라.

나래 : 날개(나래 : 방언)가 상징하는 것처럼 자유롭고 창조적인 사람이 되어라.

나려 : 늘 좋은 일이 하늘에서 내려오길 바라는 마음에서 경기도 방언 “나려오다”에서 따온 이름.

나로 : ‘나로 하여금’ 이란 말에서 따온 말.

나루해오름 : 강나루에 해가 떠오름.

나봄 : 봄에 태어나다.

나빛 : 빛처럼 밝고 환한 아이가 태어나다.

나샘 : 샘처럼 맑고 깨끗한 아이가 태어나다.

나슬 : 남들보다 더 나을 훌륭한 일을 하라는 뜻에서 ‘나을’의 방언을 삼은 이름.

나예 : ‘나비처럼 예쁘게’를 줄여 다듬음.

나오 : “안에서 밖으로 나오다”의 ‘나오다’에서 줄기(어간)을 따온 이름.

난길 : 밝고 환한, 앞날을 향해 난 길.

난새 : 한껏 날아오른 새.

난슬 : ‘빼어난 슬기’를 줄여 다듬은 이름.

날샘 : 언젠가 힘차게 솟아날 샘.

날애 : 날개의 방언 나래를 바꾸어 적은 이름.

남 : 나무처럼. ‘남’은 나무의 제주도 방언.

남은 : 늘 넉넉한(남은) 삶을 살라는 뜻에서 지은 이름.

내길 : 시냇가로 나 있는 길, 또는 나의 길.

내꽃 : 시냇가에 피어 있는 꽃.

내담 : “힘차게 나아가라”는 뜻에서 ‘내닫다’의 이름씨꼴(명사형) 내달음을 줄여 다듬음.

노아 : 놓아가다(배가 빨리 가다)를 소리나는 대로 적은 ‘노아가다’에서 따온 이름.

노을 : 노을처럼 예쁘게 자라라고.

누리보듬 : 세상의 옛말 ‘누리’와 보듬다의 ‘보듬’을 합쳐 지은 이름으로, 온 세상을 한껏 보듬고 살아가거라, 라는 뜻을 지닌 말.

누리봄 : 세상(누리 : 옛말)을 봄처럼 늘 희망 있게 가꾸라고.

누리알찬 : 세상(누리 : 옛말)을 알차게 만드는 사람이 되라고.

누림 : 인생의 참된 즐거움을 모두 누림.

눈꽃 : 눈 속에서도 피어나는 꽃.

눈솔 : 눈이 쌓인 소나마(솔).

뉘 : ‘뉘’는 평생, 세상의 옛말.

늘다 : 자라날수록 슬기, 지식 따위가 점점 늘어나라고.

늘봄 : 언제나 봄처럼 활기차고 새롭게 살아가라.

늘빈 : 언제나 빈 마음으로 욕심 없이 살아가라.

늘솔길 :언제나 솔바람이 부는 길.

늘솜 : 언제나 솜씨가 좋다.

늘예솔 :언제나 이쁘고 소나무(솔)와 같은 변함이 없다.

늘찬 : 언제나 옹골찬.

[ㄷ]

다가 : 어렵고 험한 일은 모두 다 가라는 뜻에서 지은 이름.

다빈 : 빈 마음으로 최선을 다하다.

다스리 : “다스리다”의 줄기(어간)를 그대로 삼은 이름.

다슬 : ① 모든 일을 다 슬기롭게 헤쳐나갈. ② ‘다스릴’을 줄여 다듬음.

다온 : 좋은 모든 일들이 다 오는.

다올 : 하는 일마다 모두(다) (복이) 올.

다옴 : 하는 일마다 모두(다) (복이) 옴.

다와 : 하는 일마다 모두(다) (복이)와. 특히 정씨 성과 잘 어울리는 이름으로, 정다와.

다은 : “다사롭고 은은한”을 줄여 다듬음.

다이 : 정다이, 즉 정답게. ‘다이’는 -답게 의 옛말.

다참 : 다 가득 참. 다 진실(참).

다한 : 모든 일에 최선을 다하는.

다흰 : 모두 하얀.

다힘 : 있는 힘을 다하다.

도담 : 건강하게 자라나라는 뜻에서 어린애가 탈 없이 잘 자라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담도담 에서 따온 이름.

도도 : “돋우다”의 옛말 “도도다”에서 줄기(어간)를 따온 이름.

도란 : “나직한 목소리로 정겹게”의 뜻을 지닌 ‘도란도란’에서 따온 말.

도래 : 오래오래 잘 살라는 뜻에서 오래오래의 다른 말인 도래 도래에서 따온 이름.

도손 : 오손도손(→오순도순) 에서 뒷말을 따온 이름.

도움 : 어려울 때 도움이 되는.

동이 : 딸 그만 낳아라, 라는 뜻으로 “한동이 났다”에서 따온 이름.

두나 : 둘째로 얻은 아이, 라는 뜻에서 둘의 경상남도 방언 두나를 그대로 따온 이름.

두동 : 앞뒤가 엇갈리거나 어긋나다, 라는 “두둥지다”에서 따온 이름. 모순된 삶을 살지 않겠다는 반어적 이름.

두루 : 들처럼 넓고 탁 트인 마음을 가지라고. 두루는 들의 방언. 두루두루에서 따온이름.

두메꽃 : 깊은 산골에 피어 있는 꽃.

두바다찬솔 : 바다처럼 넓은 마음을 지닌 옹골차고 소나무(솔)처럼 꿋꿋한 아이를 두다.

두빛나래 : 두 개의 빛나는 날개(나래 : 방언).

두온 : 두 번째로 온.

두힘 : 힘있는 아이를 두다.

드리 : 드리다에서 줄기(어간)를 따온 이름.

든솔 : 든든함이 든 굳세고 야무진 소나무(솔)처럼 살라고.

든해 : 집안으로 가득 든 햇빛.

든해솔 : 가득히 든 해와 소나무(솔)처럼.

들샘 : 들에서 솟는 샘.

들찬 : 들판 가득 찬.

들찬길 : 들판으로 박차고 나아가는 길.

[ㄹ]

라라 : 흥겨울 때 읊조리는 소리.

라미 : 동그라미에서 따온 이름.

라별 : “빛나라 별들아”에서 특정 소리마디(음절)를 따서 지은 이름.

란새 : 노란새에서 따온 이름으로 노씨 성과 어울려 지은 이름.

렁찬 : 우씨 성과 어울려 남자답게 우렁차게, 힘차게.

로다 : 기다리던 아이가 바로 너로다, 라는 뜻으로 “너로다”에서 따온 이름.

로와 : 슬기로와, 이로와, 등에서 따온 이름.

로운 : 슬기로운, 이로운, 에서 따온 이름.

로지 : 오씨 성과 어울려 지어 오로지, 즉, 한 곬로.

루다 : 이씨 성과 어울려 지어 이루다, 즉, 뜻하는 것이 그대로 되게 하다.

루라 : 뜻한 바를 잘 이루라고. 이씨 성과 어울려 지은 이름.

루리 : 이씨 성과 어울려 지어 이루리, 즉, 뜻을 펴리.

리네 : 우리네 조상, 우리네 정, 우리네 나라의 우리네에서 따온 이름.

리라 : 하리라, 이리라, 씨끝(어미)에서 따온 이름. 특히 이씨 성과 어울려 지은 이름.

리리 : 소리가 좋다고 생각되는 소리마디(음절)들을 모아 지은 이름.

[ㅁ]

마디 : 이 편을 맺고 저 편은 시작하는 마디 같은 사람이 되어라.

마루 : 산의 꼭대기.

마루한 : 으뜸(마루)가는 큰(한) 사람이 되라고.

마리 : 머리, 즉 우두머리. 으뜸가는 사람. 마리는 머리의 옛말.

마음 : 언제나 마음을 올바르게 건사하여라.

마음새 : 마음 씀씀이.

말근 : 티없이 정의롭게 살라는 뜻에서 ‘맑은’을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말글 : 말과 글처럼 중요한 사람이 되어라. ‘맑을’을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맑은 : 마음씨가 맑고 깨끗한 사람이 되라고.

맑은가람 : 맑은 강(가람 : 옛말).

맑은누리 : 깨끗한 세상(누리 : 옛말).

매디 : 무슨 일을 하든지 마무리를 분명하게 짓는 사람이 되라는 뜻으로, 매듭의 강원도, 전라남도, 경상도 방언을 따온 이름.

모두가람 : 모두가 강(가람 : 옛말)이라는 뜻.

모두다 : 모두 함께.

모드니 : 모든 것을 가진 사람 이란 뜻으로 ‘모든+이’를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모든 : 여러 가지의, 전부의.

모아 : 늘 뜻을 모아 사는 삶을 살라고.

모은 : 값진 것을 모은 사람.

모이 : 작고도 야무지다는 뜻의 “모이다”에서 줄기(어간)만을 따온 이름.

모해 : 모퉁이를 비쳐 주는 해(햇빛).

무들 : 광주의 옛 땅이름을 그대로 삼은 이름.

무슬 : 섬돌, 우물, 진터에 쌓은 돌을 뜻하는 옛말 무를 변형시킨 이름.

무지개 : 비가 갠 뒤 하늘에 생기는 일곱가지 색의 아름다운 띠.

물맑 : 맑은 물처럼 맑고 깨끗한 사람이 되라는 뜻에서 지은 이름.

물보라 : 물결이 부서져 안개처럼 흩어지는 잔 물방울처럼 시원스레 살라고.

미나 : “미덥게 나다”에서 말마디(어절)의 첫 소리마다(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미나래 : “믿음성이 있다”의 뜻을 지닌 미쁘다, 미덥다,의 “미”와 날개의 방언 “나래”가 합쳐진 말로, 깊은 믿음을 갖고 세 상을 훨훨 날며 살라는 뜻에서 지은 이름.

미드미 : 믿음이 강한 사람이라는 뜻에서 “믿음+이”를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미라 : 미덥게 자라라,를 줄여 다듬음.

미리별 : 미리내(은하수)의 별.

[ㅂ]

바다 : 바다처럼 넓음 마음을 가지라는 뜻에서 지은 이름.

바로찬글 : 바르고 옹골한 글을 쓰라는 뜻으로 지음.

바름 : 바르다의 활용형으로, 올바르게 살라는 뜻.

밝은빛누리예 : 밝은 빛이 환하게 비치는 세상(누리 : 옛말)에서 예쁘게 살아가라, 라는 뜻에서 지은 이름. 여기서 예는 예쁘다의 뜻 이외에 소리의 아름다움을 살려 짓기도 하였다.

밝음이 : ‘밝음+이’로 “마음이 밝은 사람이 되라”는 뜻.

범한 : 범처럼 씩씩하고 큰 인물로 크라.

벼리 : 일이나 글의 뼈대가 되는 줄거리를 뜻하는 낱말을 그대로 삼은 이름.

별 : 밤 하늘의 별같이 빛나는 인물이 되라는 뜻에서 지은 이름.

별글 : 별처럼 아름답고 빛을 내는 글.

별솔 : 별처럼 빛나게 소나무(솔)처럼 푸르게.

별하 : 별같이 높이 빛나는 사람이 되라는 뜻. ‘하’는 대상을 높여서 부를 때 붙이는 토씨(조사).

보나 : 보람이 나타나.

보늬 : 보늬는 밤처럼 겉껍질이 있는 과일 속의 얇은 껍질로, 이 껍질처럼 여리고 약한 사람들을 감쌀 수 있는 사람이 되라고 지은 이름.

보라나 : 보랏빛으로 피어나.

보람 : 무슨 일이나 보람을 느끼며 살라는 뜻에서 지은 이름.

보르미 : 보름에 태어난 아이.

보미 : 봄에 태어난 아이. 보람차고 미덥게.

보미나 : 보람차고 미덥게 자라나라.

보슬 : 눈이나 비가 가늘고 성기게 조용히 내리는 모양. 보람과 슬기.

보아라 : 나를 보라.

보예 : 보람차고 예쁘게 자라라는 뜻.

봄나 : 봄에 태어난 아이.

봄시내 : 봄철의 시냇물.

봄해 : 봄철의 태양.

부루 : “한꺼번에 없애 버리지 않고 오래 가도록 늘여서”를 뜻하는 우리말을 그대로 삼은 이름.

불꾼 : 사냥꾼, 지게꾼과 같은 형식으로 지은 이름으로, 불을 지피는 사람의 뜻. 넓게 말하면 쌀쌀하고 찬 기운이 도는 사람들 사이에 따뜻한 불을 지펴 서로의 사랑이 도타워지도록하는 사람. 무슨 일이든 뜻하는 일이면 불같은 마음으로 꼭 해내는 사람의 뜻을 지님.

비사벌 : 전주의 옛 땅이름을 그대로 삼은 이름.

비치 : ‘빛이’를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또는 ‘비치다’에서 따온 이름.

비치나 : ‘빛이나’를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빈길 : 비어 있는 길.

빛글 : 세상 사람들의 빛, 곧 길잡이가 되는 글을 쓰라는 뜻.

빛길 : 빛을 밝혀 세상을 이끄는 길.

빛다 : 빛을 다 모은 듯이 밝고 환한 아이.

빛솔 : 빛처럼 밝게 솔처럼 푸르게.

빛초롱 : 빛나는 초롱, 빛을 내는 초롱.

[ㅅ]

새길 : 새로운 길을 개척해 나가라는 뜻.

새꽃 : 새로 핀 꽃.

새나 : 새가 나는 것처럼 자유롭고 아름다운.

새난 : “새로난”의 뜻으로, 늘 새로난 것처럼 신선하다는 뜻.

새누 : 새로운 누리(옛말)의 줄임말로 새 세상 이라는 뜻.

새늘 : 언제나(늘) 새롭게.

새론 : 늘 새로운 사람이 되라는 뜻에서 새로운을 줄여 지은 이름.

새밝 : “새롭게 밝아오는”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새솔 : 새로 난 소나무(솔)의 푸르름처럼 살라는 뜻에서.

새얀 : 새롭고 하얀.

세련 : “굳세게 살으련”에서 특정 음절을 따온 이름.

세리 : “큰 뜻을 세우고 살아가리”에서 특정 음절을 따온 이름.

세움 : 뜻을 똑바로 자리잡게 함.

세이 : 세 번째 태어난 아이.

세찬 : 힘있고 억센.

소리 : 소리(목소리)를 잘하는 사람이 되라는 뜻에서 소리를 삼은 이름.

소미 : 솜과 같이 부드러운 여자가 되라는 뜻에서 “솜+이”를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소아 : “소담스럽고 아름답다”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소예 : “소답스럽고 예쁘다”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솔관 : “천으로 된 과녁”의 뜻을 지닌 옛말을 그대로 따온 이름.

솔길 : 소나무(솔)가 늘어서 있는 길.

솔빛길 : 네 앞에 펼쳐질 길이 솔빛처럼 희망차거라.

솔잎 : 소나무(솔) 잎과 같은 날카로움과 향기를 지닌.

솔찬 : 소나무(솔)처럼 푸르고 옹골찬.

수련 : 몸가짐과 마음씨가 맑고 곱다는 뜻의 “수련하다”에서 따온 이름.

수리 : 하는 일에서 우두머리(꼭대기)가 되라는 뜻에서 독수리, 정수리에서 따온 이름.

슬기 : 언제나 슬기로움을 잃지 말라고.

슬아 : “슬기로움과 아름다움을 지니라”는 뜻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슬아라 : “슬기롭고 아름다워라”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슬예 : “슬기롭고 예쁘게”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슬옹 : 슬기롭고 옹골차다(실속 있다).

슬우 : 슬기로움고 우람한 씩씩함을 지니라고.

슬찬 : 슬기로움으로 가득찬.

승아 : 마디풀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 이름을 삼은 이름.

시내 : 시내(시냇물)처럼 시원하고 맑은 삶을 살라고.

시원 : “막힘없이 시원한 성격을 지니고 시원하다”에서 뿌리(어근)을 따온 이름.

[ㅇ]

아라 : 조씨 성과 어울려 “좋아”의 뜻을 지니고 있고, “무엇이든 알아”에서 “알아”를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아란 : “아름답게 자란”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아련나래 : 예쁘고 아름다운(아련 : 옛말) 날개(나래: 방언).

아롱별 : 아롱다롱 빛나는 별처럼 아름다우라고.

아름나 : 아름다운 아이를 낳아. 아름다운 나라.

아리솔 : 아리땁고 소나무(솔)처럼 늘 마음이 푸른 사람이 되라고.

아리알찬 : 아리땁고 알찬 사람이 되라고.

알 : 어디에서나 알맹이와 같은 사람이 되라는 뜻.

알찬마루 : 알찬 꼭대기(마루)처럼 실제 높은 사람이 되라고.

알찬바로 : 알차게 바로 살라고.

알찬해 : 알찬 해처럼 더욱 남을 밝게 해주라고.

얀 : 하씨 성과 어울려 “하얗다”의 뜻을 지닌 이름.

얀별 : 하얀별에서 따온 이름.

얀새 : 하얀새에서 따온 이름.

얼 : 정신(얼)이 곧은 사람이 되라고.

엄지 : 엄지 손가락에서 따온 이름.

에다 : “안에다”에서 따온 이름.

여름 : 열심히 살아 좋은 결과를 얻으라는 “열매”를 뜻하는 옛말을 그대로 삼은 이름.

영글 : “영글다”에서 줄기(어간)을 따온 이름.

예님 : 예쁘고 고운 임(님).

예다움 : 예쁨과 정다움을 지니라고.

외솔 : 한 그루의 소나무와 같은 고고함과 푸르름을 지니라는 뜻.

우람늘 : 우람하다(크고 위엄 있다)의 ‘우람’에 언제나를 뜻하는 ‘늘’을 붙여 지은 이름.

우솔 : 우람한 소나무(솔) 처럼 바르고 크게 자라라고.

움찬 : 돋아 오르는 싹(움)이 힘찬.

으뜸 : 이 세상에서 이 아이가 최고(으뜸)라는 뜻.

은새 : “고은(←고운”) 새, “조(좋)은” 새에서 따온 이름.

은소라 : “고은 소라”, “조(좋)은 소라”에서 따온 이름.

은솔: “고은(←고운) 소나무(솔)”, “조(좋)은 솔”에서 따온 이름.

은솜 : “고은 솜”에서 따온 이름.

은송이 : “고은(←고운) 송이”, “조(좋)은 송이”에서 따온 이름.

이든샘 : 착하고 어진(이든 : 옛말) 마음이 샘처럼 솟으라고.

이루리 : 하고자 하는 바를 이룰 것이다.

이루리라 : 무엇인가를 꼭 이루는 사람이 되라고.

이룩 : (원하는 바를) “이룩하다”에서 이룩을 따서 지은 이름.

이솔 : “소나무(솔)의 기상과 품위를 이루다”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이송이 : “송이송이”에서 따온 이름.

이플 : 청순하고 소박한 느낌을 주는 소리의 장점을 살려 지은 이름.

잎새 : 나뭇잎처럼 푸르름과 시원함으로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라고.

[ㅈ]

자랑 : 남들에게 자랑할 만한 아이.

자올 : “모든 사람과 친하게 지내는 원만한 성격을 지니라고 친하다”의 뜻인 옛말 “압다”에서 따온 이름.

잔디 : 잔디처럼 어려움을 이기고 끈기를 지니라고.

재마루 : 고개(재) 마루.

재미 : 세상을 재미 있고 즐겁게 살라고.

재바우 : 고개(재)의 바위처럼 듬직하고 믿음직스러운. 바우는 바위의 방언.

재찬 : 고개(대)가 찬.

제나 : 기다리던 아이를 이제 낳아 .

제철 : 적적한 때에 잘 태어나.

조롱목 : 조롱박 모양으로 생긴 물건의 잘록한 부분.

조은 : “좋은”을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종달 : 종달새처럼 하늘 높이 나는 인물이 되라는 뜻.

주나 : 이웃에게 사랑과 기쁨을 주라고.

주리 : 주위 사람들에게 기쁜과 즐거움을 주리.

주미 : 주는 사람이라는 뜻에서 ‘줌+이’를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지나 : “나쁘고 궂은 일들은 빨리 지나”라고.

지니 : “많은 복을 지니”라고 “지니다”에서 줄기(어간)을 따온 이름.

지은 : 세상을 바르게 하는 좋은 글을 지은 .

지음 : 자신의 삶을 아름답게 지음 .

진나 : 진달래와 개나리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진달래 : 이름 봄의 진달래 처럼 예쁘고 고으라고.

진샘 : 값진 샘에서 따온 이름.

진솔 : 한 번도 빨지 않은 새옷을 뜻하는 우리말을 그대로 삼은 이름.

진이 : “진달래처럼 곱고 예쁜 아이”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ㅊ]

차나 : 옹골찬 아이라는 뜻에서 “찬+아”를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차미 : “옹골차고 미더운”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차분 : 성격이 찬찬하고 침착하라고.

차분나래 : 차분한 심성에 날개(나래 : 방언)단 선녀와 같은 아름다움을 지닌.

차오름 : 박차고 힘껏 날아오르는 기상을 지니라고.

착히 : 모든 일을 착하고 바른 마음으로 풀어가라고.

찬 : 속이 꽉 차 흐트러짐이 없는.

찬내 : 물이 가득 찬 시내.

찬놀 : 하늘 가득 찬 놀.

찬누리 : 복이 가득찬 세상(누리 : 옛말)을 누리다.

찬늘 : 늘 가득찬.

찬늘봄 : 늘 봄기운으로 가득찬.

찬들 : 곡식이 가득찬 풍성한 들판.

찬솔 : 알차게 잘 자란 소나무(솔).

찬솔나라 : 알찬 소나무(솔)처럼 자라나라.

찬솔큰 : 알찬 소나무(솔)처럼 큰 사람.

찬슬 : 슬기로움으로 가득찬

찬슬기 : 옹골차고 슬리롭게 살라고

참 : 언제나 거짓 없는 참된 마음을 지니라고

참이 : 참되고 바르게 살아갈 이

참이삭 : 참된 이삭

채움늘 : 늘 부족한 점이 없도록 채워나가라

초고리 : 작은 매(초고리)와 같이 재빠르고 날카로우라고

초롬 : “함초롬하다(차분하다)”에서 초롬을 따서 지은 이름

초롱 : “맑고 영롱하게 빛나다”라는 뜻의 “초롱초롱하다”에서 따온 이름

초롱꽃 : 초롱꽃처럼 예쁘고 생기발랄하다는 뜻에서

치리 : 모든 악한 것들을 물리치리

[ㅋ]

크나 : 크고 훌륭하게 자라나.

크심 : 마음과 덕이 큰 사람이 되라고.

큰가람 : 큰 강(가람 : 옛말).

큰길 : 크고 넓은 길로 바르게 나아가라고.

큰깃 : 큰 새 날개의 털.

큰꽃 : 커다란 꽃.

큰꽃늘 : 큰 꽃이 늘.

큰꽃들 : 큰 꽃이 가득 핀 들.

큰나라 : 큰 인물로 자라나라.

큰나래 : 커다란 날개(나래 : 방언)를 단듯이 마음속에 품은 뜻을 마음껏 펼쳐라.

큰돌찬 : 바위처럼 꽉 찬 사람.

큰돛 : 커다란 돛을 단 배처럼 쑥쑥 앞으로 나아가라고.

큰마루 : 커다란 산처럼 넓은 마음을 지니라고. 마루는 산의 꼭대기 .

큰말 : 커다란 마을(말)에서 널리 이름을 떨칠.

큰맘 : 크고 넓은 마음으로 사람들에게 베풀면서 살라고.

큰뫼 : 큰 산(뫼 : 옛말).

큰솔 : 크고 우람하게 잘 자란 소나무(솔).

큰아 : “큰 인물이 될 아이”라는 뜻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큰애 : 크고 훌륭한 일을 할 아이. 큰아 참조.

큰재 : 커다랗고 높다란 고개(재)처럼 사람들이 우러러보는 인물이 되라고.

큰힘 : 큰 힘을 지녀서 올바르게 쓰라고.

클 : 앞으로 큰 인물로 자랄.

키움 : 예쁘고 바르게 키우겠다는 뜻.

키클 : 키와 마음이 클 사람.

[ㅌ]

타고나 : 훌륭한 자질을 갖고 타고나.

터전 : 삶의 기틀을 단단히 다지라고.

터큰 : 앞으로 살아가기 위한 그 기틀(터)이 큰.

텃골 : 터 잡힌 골짜기처럼 든든하게.

텃골돌샘터 : 충청북도의 땅이름을 그대로 삼은 이름.

토리 : 도토리처럼 작지만 야무지고 옹골차라고 도토리에서 따온이름.

통꽃 : 통꽃의 꽃잎처럼 서로 도우며 조화롭게 사는.

튼동 : 이 아이를 낳아 동쪽 하늘이 훤히 개인듯이 시원하고 기쁜.

튼싹 : 이제 막 자라기 시작하는 새싹.

튼트나 : 튼튼하고 건강하게 자랄 아이의 뜻인 “튼튼+이”를 소리나는대로 지은 이름.

튼튼 : 몸과 마음이 모두 튼튼하라고.

틀큰 : 사람의 됨됨이나 여러 가지 틀이 큰.

티나 : 어디에서나 예쁘고 고운 티가 나타나.

[ㅍ]

파라 : 노씨 성과 어울려 지은 이름으로 “높아라”의 일부분을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파라나 : 마음이 푸르러서 언제나 싱싱한 기운을 느끼게 하는 아이.

파라미 : “파란 기운이 나는 이”라는 뜻에서 “파람+이”를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파란 : 파란 하늘처럼 맑고 깨끗하게 살아라.

파랑 : 파란빛처럼 시원하고 강인한 성격을 지니라고.

파랑새 : 언제나 파랑새와 같은 꿈과 희망을 잃지 말라고.

퍼리 : 넓고 큰 벌판을 누비라는 뜻에서 벌판의 옛말을 그대로 삼은 이름.

펴라 : 온 힘을 기울여 꿈을 펼쳐라.

푸르 : 삶을 늘 푸르게 살라는 뜻에서 푸르다의 줄기(어간)를 따온 이름.

푸르나 : 푸른아이라는 뜻에서 “푸른+아”를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푸르내 : 푸른 물이 가득 흐르는 맑은 시내.

푸르니 : 마음이 늘 푸르니.

푸른나래 : 푸르고 싱그러운 날개(나래 : 방언).

푸른나무 : 알차게 잘 자라서 푸른 기운이 넘쳐나는 나무.

푸른들 : 앞으로 곡식이 익을 풍성함을 준비하는 들판.

푸른마을 : 나무들이 푸르게 우거진 아름다운 마을.

풀잎 : 풀잎처럼 부드러우면서도 강인하게 자라라고.

풀큰 : 가꾸지 않아도 잘 자라는 풀처럼 큰.

풋내 : 새로 나온 푸성귀, 풋나물 들에서 나는 풀 냄새로 언제난 신선함을 지니라는 뜻.

피네 : 꽃이 피네.

피라 : 꽃처럼 곱고 예쁘게 피어라.

피리 : 피리와 같이 맑고 고운 소리로 사람들에게 감동과 즐거움을 주라고.

피어나 : 예쁘고 바르게 피어나.

핀아 : 오랜 정성과 사랑으로 꽃처럼 핀(태어난) 아이.

[ㅎ]

하나 : 이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소중한 아이.

하늬 : 하늬바람처럼 시원한 성격을 지니라고.

하람 : “하늘이 내리신 소중한 사람”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하랑 : ‘하’는 “높다”라는 뜻(하늘). ‘랑’은 “함께”라는 뜻(∼랑∼). 함께 사는 세상에서 높은(훌륭한) 사람이 되라는 뜻.

하련솔 : 하려무나(하련), 소나무(솔) 처럼 지조 높은 일을.

하예라 : 예쁘게 하늘을 닮으며 자라라.

하예진 : 하늘처럼 높은 뜻과 예쁜 마음을 지닌.

한 : 크고(한) 대범한 마음을 지니라고.

한가람 : 몹시 넓고(한) 물이 풍족하게 흐르는 강(가람 : 옛말).

한결 : 한결같은 지조를 지니는 사람이 되라고.

한길찬 : 큰(한)길에 가득 찬.

한내 : 큰 시내처럼 물이 풍족해서 사람들을 이롭게 하는.

한누리 : 큰(한) 세상(누리 : 옛말)을 두루 경험하며 크게 살라고.

한별나라 : 큰(한) 별처럼 차고 오른.

한봄찬 : 깊은 봄에 차고 나온.

한빛 : 세상을 이끄는 환한 큰(한) 빛이 되라는 뜻에서.

한샘가온 : 큰(한) 샘 가운데(가온대 : 옛말)처럼 깊고 깨끗한.

한울 : 큰(한) 울타리와 같이 사람들에게 포근함을 주라고.

해가빛 : 해가 빛나는.

해긴 : 매우(많이) 긴. 즉, 오래 행복하게 살아라. ‘해’는 많이의 옛말.

해길 : 해가 비추는 길을 가듯 평탄하게 살아라.

해나 : 해가 나다.

해늘 : 늘 해처럼 밝게 살아라.

해님꽃 : 해처럼 밝고 꽃처럼 예쁘게 자라라.

해련 : “밝다”는 뜻의 ‘해’에다 마음이 순하고 곱다는 뜻의 “수련하다”에서 ‘련’을 따와 지은 이름.

해비치 : “해 비치다”에서 따온 이름.

해사랑해 : 해를 사랑해.

해샘찬 : 샘에 가득 찬 햇빛.

해솔 : 해처럼 밝고 소나무(솔)처럼 바르게.

해찬나래 : 햇빛(해)이 차서 더욱 높이 날 수 있는 날개(나래 : 방언).

해찬솔 : 햇빛이 가득차 더욱 푸른 소나무(솔).

환찬 : 환한 것이 찬.

환히찬 : 빛이 환하게 차 있는.

횃불 : 세상을 이끄는 횃불이 되라고.

희라 : 깨끗하게 살아라.

흰가람 : 하얗고 깨끗한 강(가람 : 옛말).

흰꽃 : 하얀꽃처럼 깨끗하고 순결하게 자라라.

힘차 : 힘차고 굳세게 살라는 뜻.

힘찬 : 힘차게 날아오르라고.

순우리말 단어, 예쁜 순우리말 이름 추천

728×90

가라사니: 사물을 판단할 수 있는 지각이나 실마리

가람: 강

가람슬기: 강처럼 푸르게, 그리고 슬기롭게

가랑비: 조금씩 내리는 비

가론: 말하기를, 이른 바(所謂).

가시버시: 아내와 남편의 우리말

가온: 가운데

가온길: 정직하고 바른 가운데 (가온대: 옛말) 길로 살아가라고 지은 이름.

가온누리: 무슨 일이든 세상(누리: 옛말)의 중심(가온대: 옛말)이 되어라.

가우리: 고구려(중앙)

건잠머리: 일을 시킬 때에 방법을 일러주고 도구를 챙겨주는 일 (예: 그는 건잠머리가 있으니 잘 가르쳐 줄게다)

겨르로이: [옛] 한가로이, 겨를 있게.

고수련: 병자를 정성껏 돌보는 일

고수머리: 곱슬머리

고운: 말 그대로 고운 삶을 살아라라는 뜻이 좋은 한글이름

고타야: 안동의 순 우리말

괴다: 유난히 귀엽게생각하여 사랑한다

구다라: 백제(큰 나라)

그루잠: 깨었다가 다시 든 잠

그린나래: 그린 듯이 아름다운 날개

그린내: 연인의 우리말

그린비: 그리운 남자

그미: 그 여자.

길가온: 길 가운데

까미: 얼굴이나 털빛이 까만 사람이나 동물을 일컫는 말

꼬꼬지: 아주 먼 옛날

꼬두람이: 맨 꼬리 또는 막내

꼬리별: 혜성

꽃가람: 꽃이 있는 강

꽃구름: 여러가지 빛깔을가진 아름다운 구름

꽃내음: 꽃의 냄새

꽃샘바람: 봄철 꽃이 필 무렵에 부는 찬 바람

꽃잠: 신혼 첫날밤

나래: 날개

나르샤: 비상하다, 날아오르다

나린: 하늘이 내린

나릿물: 냇물

나봄: 봄에 태어난 아이

나비잠: 갓난아이가 두 팔을 벌려 편안하게 자는 잠

나예: 나비처럼 예쁘게

난새: 한껏 날아오른 새처럼

난이: 공주

너나들이: 서로를 터 넣고 지내는 가까운 사이

너비: 널리

너울: 바다의 사나운 큰 물결

노고지리: 종달새

노을: 노을처럼 곱고 예쁘게 자라렴

누리: 온세상에 너의 뜻을 펼치렴

누리봄: 세상(누리)을 봄처럼 희망차게 가꾸는 사람이 되길

눈바래기: 멀리 가지 않고 눈으로 마중한다는

느루: 한번에 몰아치지 않고 시간을 길게 늦추어 잡아서

는개: 안개비와 이슬비 사이의 가는 비

늘봄: 늘 봄처럼 상큼하게 자라렴

늘솔길: 언제나 솔바람이 부는 길

늘찬: 늘 옹골찬 아이로 자라주길

늘품: 앞으로 좋게 발전할 품질및 품성

늘해랑: 늘 해와 함께 살아가는 밝고 강한 사람

늦마: 늦은 장마 비

다소니: 사랑하는 사람

다님길: 사람이 다니는 길

다빈: 빈 마음으로 최선을 다하는

다소니: 사랑하는 사람, 애틋하게 사랑하다

다소다: 애틋하게 사랑하다

다솜: 애틋한 사랑

다스리: 다스리다

다슬: 모두 슬기롭게

다온: 좋은 모든 일이 다 오는

다올: 하는 일마다 복이 올

다원: 모두가 다 사랑하는 사람, 모두가 원하는 사람

다은: 다사롭고 은은한, 은은한 사랑

다희: 세상을 희게 하는 사람

다흰: 모두 다 하얗고 순수한

단미: 달콤하며 사랑스러운 여자

달보드레: 달달하고 부드럽다

닻 별: 별자리 중에서 ‘카시오페아’를 달리 이르는 말

도 투락: 어린아이 머리댕기

도닐다: 가장자리를 빙빙 돌아다니다

도담: 복스럽고 건강한

도담도담: 아이가 별탈없이 건강하게 잘자라는 모습

도란도란: 여럿이 나직한 목소리로 정답게 이야기 나누는 소리

도래솔: 무덤가에 죽 늘어선 소나무

도투락: 어린아이의 머리댕기

돌개바람: 회오리 바람

두빛나래: 두 개의 빛나는 날개

둔치: 물있는 곳의 가장자리

듀룃체리: 늦게 얻은 사랑스러운 딸

드레: 인격적으로 점잖은 무게

든해: 집안으로 가득 들어온 햇빛처럼 밝게

따앗머리: 형제와 자매 사이의 우애및 정

또바기: 언제나 한결같이 꼭 그렇게

띠앗머리: 형제자매 사이의 우애와 정

라라: 흥겹고 즐거운 삶을 살길

라미: 동그라미에서 따와 동글동글 부드럽게 살길

라온: ‘즐거운’ 이라는 순 우리말

라온제나: 즐겁고 기쁜 우리

라온하제: 즐거운 내일

라온힐조: 즐거운 이른 아침 (힐조: ‘이른 아침’의 순 우리말)

루리: 이씨성과 어우러져 이루리, 뜻을 이루라는 뜻

마닐마닐: 음식이 씹어먹기 알맞도록 부드럽고 말랑말랑하다

마루: 하늘

마루한: 으뜸가는 큰 사람이 되렴

마리: 머리의 옛말, 으뜸가는 사람

마소두래기: 말(言)을 이곳저곳 옮겨 퍼뜨리는 것

마파람: 남풍

맛조이: 마중하는 사람. 영접하는 사람.

매지구름: 비를 머금은 검은 조각구름

먼산바라기: 먼 곳만을 우두커니 바라보는 일 또는 늘 그런 사람

모꼬지: 놀이나 잔치 또는 그 밖의 일로 여러 사람이 모이는 일

모들: 모다들엉의 준말로 함께라는 제주어

모람모람: 이따금씩 한데몰아서

모아: 늘 뜻을 모아 사는 삶을 살렴

물마: 비가 많이 와서 땅 위에 넘치는 물

물비늘: 잔잔한 물결이 햇살 따위에 비치는 모양

미나: 미덥게 자라나렴

미르: 용 의 순수 우리말

미리내: 은하수

미쁘다: 믿음성 있다, 믿을 만하다, 진실하다

미투리: 삼이나 노 따위로 짚신처럼 삼은 신

바론: 바른의 옛 우리말로 바르게

바림: 그라데이션

바오: 보기 좋게.

바오: 보기 좋게

벗: 친구

베리, 벼리: 벼루

벼리: 일이나 어떤 글의 뼈대가 되는 줄거리, 중심이 되어 살렴

별찌: 유성

별하: 별처럼 높이 빛나는 사람이 되길

보담: 누구보다 나은 삶을 살렴

보미: 봄에 태어난 아이로 보람차고 미덥게

볼우물: 보조개

부라퀴: 자기 이익을 위해서는 물불 가리지 않고 덤비는 사람

북새바람, 됫바람, 된 바람: 북풍

비나리: ‘축복의 말’의 우리말

사그랑이: 다 삭아서 못쓰게 된 물건

사나래: 천사의 날개

사달: 대단찮은 사고나 탈

사랑옵다: 생김새와 행동이 사랑스럽고 귀엽다

사부랑사부랑: 물건을 느슨하게 묶거나 쌓아놓은 모양

사시랑이: 가늘고 힘없는 사람

산다라: 굳세고 꿋꿋하다 (신라 김유신 장군의 순 우리말 아명)

산돌림: 옮겨다니며 한줄기씩 내리는 소나기

새, 하, 마, 노: 순서대로 동,서,남,북의 우리말

새나: 새가 나는 것처럼 자유롭고 아름다움

새라: 새롭다

새론: 늘 새로운 사람

새솔: 새로난 소나무의 솔처럼 푸르게

샘바리: 어떠한 일에 샘이 많아 안달하는 마음이 강한 사람

샛별: 금성을 뜻하는 순우리말, 장래에 크게될 인물

서리서리: 국수나 새끼 등을 헝클어지지 않게 빙빙 둘러서 포개 감는다는 것

섬서하다: 서먹서먹하다

세찬: 힘있고 억센

셈나다: 사물을 잘 분별하는 슬기가 생겨나다

셈차리다: 앞 뒷일을 잘 생각하여 점잖게 행동하다

소담하다: 생김새가 탐스럽다

소마: 오줌을 점잖게 이르는 말

소마소마: 조마조마

소미: 솜과 같이 부드러운

소소리바람: 차고 음산한 봄바람

소아: 소담하고 아름다운

소예: 소담스럽고 예쁜

솔찬: 소나무(솔)처럼 푸르고 옹골차게

수련: 몸과 마음씨가 맑고 고운

수피아: 숲의 요정

숯: 신선한 힘

슈룹: 우산

슬기: 언제나 슬기로운

슬아: 슬기롭고 아름다운

슬옹: 슬기롭고 옹골찬

슬우: 슬기롭고 우람한 씩씩한

슬찬: 슬기롭움으로 가득찬

시나브로: 모르는 사이에 천천히 조금씩

시내: 시냇물처럼 맑고 깨끗한

씨밀레: 영원한 친구

아토: 선물

아띠: 친구, 연인

아라: 바다의 우리말

아라가야: 함안

아란: 아름답게 자란

아람: 가을 햇살에 충분히 익어 저절로 벌어진 과일

아람치: 자기의 차지가 된 것

아련나래: 예쁘고 아름다운 날개

아련하다: 보기에 부드러우며 가냘프고 약하다

아롱별: 아롱다롱 빛나는 별처럼 아름답게

아름 드리: 한 아람이 넘는 큰 나무나 물건 또는 둘레가 한 아름이 넘는 것

아리수: 한강

아리아: 요정

아미: 미간

아사: 아침

아스라이: 아득히, 흐릿한

아이서다: 임신

아퀴: 일의 갈피를 잡아 마무르는 끝매듭

아토: 선물

안다로미: 그릇에 넘치도록 많이

앙 짜: 앳되게 점잔을 빼는 짓

애오라지: 마음에 부족하나마, 그저 그런 대로 넉넉히, 넉넉하지는 못하지만

애움길: 굽은 길

에 멜무지로: 단단하게 묶지 아니한 모양. 결과를 바라지 아니하고, 헛일하는 셈 치고 시험 삼아 하는 모양

에 움길: 굽은길

에우다: 둘레를 삥 둘러싸다, 딴길로 돌리다

여우별: 궂은 날 잠깐 났다가 숨는 별

여우비: 해가 난 날 잠깐 내리는 비

여울가녘: 가장자리, 여가리

예그리나: 사랑하는 우리사이

옛살비: 고향

오비다: 좁은 틈이나 구멍속을 갉아내거나 도려내다

온: 백(100)

온 누리: 온세상

온새로미: 가르거나 쪼개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상태

온새미로: 자연 그대로, 언제나 변함없이

올리사랑: 자식의 부모에 대한 사랑. 또는 아랫사람의 윗사람에 대한 사랑

옴니암니: 아주 자질구레한 것 (예: 그렇게 옴니암니 따지지 말게)

우수리: 물건 값을 치르고 거슬러 받는 잔돈

움찬: 돋아오르는 싹처럼 힘차게

윤슬: 빛에 비치어 반짝이는 물결

으뜸: 이 세상 최고

은가람: 은은하게 가르는 강

은가비: 은은한 가운데 발하는 빛

은솔: 고은 + 소나무(솔), 고운 소나무처럼

이내: 저녁나절에 어르스름한 기운

이든: 착하고 어진

이든: 착한, 어진

이든샘: 착하고 어진 마음이 샘처럼 솟는

이솔: 소나무의 기상과 품위를

이플: 청순하고 소박한

임: 으뜸이라는 뜻의 고대 한국어

잎새: 나뭇잎처럼 푸르게

자귀: 짐승의 발자국

자리끼 숭늉: 밤에 마시기 위해 머리맡에 둔 물그릇

자올: 원만한 성격의

잔디: 잔디의 끈기를 가진

재바우: 고개(재)의 바위처럼 듬직하고 믿음직스러움

주리: 즐거움을 주리

주미: 주는사람, 줌+이(사람)

즈믄: 천(1000)

지니: 많은 복을 지니렴

지망지망히: 조심성없이

지은: 세상을 바르게 하는 좋은 글을 지은

지음: 삶을 아름답게 지금

진이: 진달래처럼 곱고 예쁜

집알이: 새 집 또는 이사한 집을 인사차 찾아보는 일

차롱: 동음식을 담는 대나무 그릇이라는 뜻의 제주 방언

찬: 속이 꽉 찬

찬누리: 복이 가득한 세상

찬솔: 알차게 잘 자란 소나무

찬슬: 슬기로움으로 가득찬

초롱: 맑고 영롱하게 빛나다

초아: 초처럼 자신을 태워 세상을 비추는 사람

큰솔: 크고 잘 자란 소나무

타니: 귀걸이

타래: 실이나 노끈 등을 사려 뭉친 것

토리: 도토리처럼 작지만 야무지고 옹골찬

티나: 어디서나 예쁘고 고운 티가 나

파니: 하는 일 없이 노는 모양

퍼르퍼르: 가벼운 물체가 가볍게 날리는 모양.

포롱거리다: 작은 새가 가볍게 날아오르는 소리

푸르내: 푸른 물이 가득 흐르는 맑은 시내

푸르미르: 청룡

푸실: 풀이 우거진 마을

핀아: 오랜 정성과 사랑으로 핀 꽃같은 아이

하나: 이세상에 단 하나뿐인 소중한

하나린: 하늘에서 어질게 살기를 바람.

하늬: 하늬바람처럼 시원하게

하늬바람: 서풍

하람: 하늘이 내린 소중한 사람

하랑: 함께 사는 세상에서 높은 사람 ,함께 높이 날다

하르르하다: 종이나 옷감 따위가 얇고 매우 보드레하다

하마하마: 어떤 기회가 계속 닥쳐오는 모양, 어떤 기회를 마음조이며 기다리는 모양

하슬라: 강릉

하야로비: 해오라기

하제: 내일

한결: 한결같은 지조를 지니는 사람

한별: 크고 밝은 별

한빛: 큰 빛, 세상을 이끄는 환한 빛

한울: 우주

핫아비: 유부남의 우리말

핫어미: 유부녀의 우리말

해나: 해가 나듯 따뜻한 사람

해류뭄해리: 가뭄후에 오는 시원한빗줄기

해솔: 해처럼 밝고 소나무처럼 바르게

해윰: 생각

해지개: 해가 서쪽 시평선이나 산너머로 넘어가는 곳

해찬솔: 햇빛이 가득찬 더욱 푸르른 소나무

허우룩: 마음이 몹시 서운하고 허전한 모양

헤윰: 생각을 뜻하는 우리말

호드기: 버들피리. 사투리로 호들기(소설’동백꽃’)

호드기: 버들피리

휘들램: 이리저리 마구 휘두르는 짓

흐노니: 누군가를 아주 그리워함

희나리: 채 마르지 않은 장작

희마: 깨끗한

희치희치: 드문드문 벗어진 모양, 군데군데 치이거나 미어진 모양

흰여울: 물이 맑고 깨끗한

출처: https://www.ihee.com/636 [희야의 소소한 일상]

반응형

좋은이름, 바른작명원 정수역학연구소

순우리말이름 (ㅎ) 

하나: 이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소중한 아이.

하늬: 하늬바람처럼 시원한 성격을 지니라고.

하람: 하늘이 내리신 소중한 사람 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하랑: 하 는 높다라는 뜻(하늘) 랑 은 함께 라는 뜻(∼랑∼). 함께 사는 세상에서 높은(훌륭한) 사람이 되라는 뜻.

하련솔: 하려무나(하련), 소나무(솔) 처럼 지조 높은 일을.

하예라: 예쁘게 하늘을 닮으며 자라라.

하예진: 하늘처럼 높은 뜻과 예쁜 마음을 지닌.

한가람: 몹시 넓고(한) 물이 풍족하게 흐르는 강(가람: 옛말).

한결: 한결같은 지조를 지니는 사람이 되라고.

한길찬: 큰(한)길에 가득 찬.

한내: 큰 시내처럼 물이 풍족해서 사람들을 이롭게 하는.

한누리: 큰(한) 세상(누리: 옛말)을 두루 경험하며 크게 살라고.

한별나라: 큰(한) 별처럼 차고 오른.

한봄찬: 깊은 봄에 차고 나온.

한빛: 세상을 이끄는 환한 큰(한) 빛이 되라는 뜻에서.

한샘가온: 큰(한) 샘 가운데(가온대: 옛말)처럼 깊고 깨끗한.

한울: 큰(한) 울타리와 같이 사람들에게 포근함을 주라고.

해가빛: 해가 빛나는.

해긴: 매우(많이) 긴. 즉 오래 행복하게 살아라. 해 는 많이의 옛말.

해길: 해가 비추는 길 을 가듯 평탄하게 살아라.

해나: 해가 나다.

해늘: 늘 해처럼 밝게 살아라.

해님꽃: 해처럼 밝고 꽃처럼 예쁘게 자라라.

해련: 밝다 는 뜻의 해 에다 마음이 순하고 곱다는 뜻의 수련하다에서 련 을 따와 지은 이름.

해비치: 해 비치다 에서 따온 이름.

해사랑해: 해를 사랑해.

해샘찬: 샘에 가득 찬 햇빛.

해솔: 해처럼 밝고 소나무(솔)처럼 바르게.

해찬나래: 햇빛(해)이 차서 더욱 높이 날 수 있는 날개(나래: 방언).

해찬솔: 햇빛이 가득 차 더욱 푸른 소나무(솔).

환찬: 환한 것이 찬.

환히찬: 빛이 환하게 차 있는.

횃불: 세상을 이끄는 횃불이 되라고.

희라: 깨끗하게 살아라.

흰가람: 하얗고 깨끗한 강(가람: 옛말).

순우리말 이름 예쁜 순수 한글이름 모음

예쁜 순수 한글이름, 순우리말 이름 모음

우리나라 말과 한글의 아름다움을 제대로 느낄 수 있었던 게, 박경리 선생님의 소설 ‘토지’를 읽었을 때 였습니다. 소설책을 보는 내내 순우리말이 그렇게 예쁘고 아름답게 적혀있다는 것을 감탄하면서 본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이렇게 예쁜 순수 한글이름을 아이에게 지어주시는 부모님들도 많이 계신데요. 순우리말 이름을 들어보면, 뭔가 평범한 한자어 이름과는 다른 느낌을 주죠. 직관적으로 느껴지는 의미의 전달이라는 면에서도 그렇지만, 뭐라고 설명하기 어려운 독특하고 특별한 이미지가 그려집니다.

간혹, 순우리말 이름은 한자 표기가 어려워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을 것 같고, 특히 중국 등에서 이름을 사용할 경우 어려움에 처할 것 같은 걱정이 들게 마련인데요. 하지만 서류에 이름이야 한글로만 해도 되고, 중국에 갈 일이 있다면 중국은 언어의 현지화가 강한 나라라 비슷한 한자로 이름을 지으면 됩니다. 코카콜라를 중국에서는 가구가락(可口可樂)으로 네이밍 하잖아요.. ㅎㅎ

그러니 예쁜 순수 한글이름으로 지어주고 싶으시다면 일단 그런 걱정은 내려놓고, 이름이 얼마나 마음에 드느냐를 먼저 따져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

그런데 순우리말 이름을 알아야 아이들에게도 작명해 줄 수 있겠죠? ㅎㅎ

그래서 예쁜 순수 한글이름, 순우리말 이름 모음을 준비했습니. 아래 한글이름은 ‘가나다’ 순서고, 낯선 이름은 뜻도 곁들였습니다. ^^

가람

가온: 가운데라는 뜻

가을

겨운

겨레: 민족의 순우리말

겨울

결 : ‘겨울’의 줄임말, 또는 나뭇결의 ‘결’

고은

고운

구슬

그루

그림

꽃님

꽃뜰

꽃잎

나라

나래: 날개의 또 다른 말

나리: 백합과 식물의 순우리말

나은

난새: 하늘을 나는 새

노을

누리

느루: 한꺼번에 몰아치지 아니하고 오래도록의 뜻

다래: 과일 이름

다솔: 어린 소나무

다솜: ‘사랑’의 옛말

다슬: 다정하고 슬기롭다는 뜻

다운

다은: 다사롭고 은은하다의 줄임말

단비

달래

닻별 : 카시오페이아성의 순우리말

대솔: 대나무 + 솔(소나무)

동녘

두리: 둘째라는 뜻

라온: ‘즐거운’이란 뜻

라움: ‘아름다운’이란 뜻의 순 한글말

마루: 정상, 꼭대기라는 뜻

마음

맑음

미리내

미르: 용이라는 뜻

믿음

바다

바람

바우: 바위의 옛말 또는 사투리

반디

밝음

밤비

버들

별비

보라

보람

빛나

빛가람

빛내리

빛찬

사랑

새론: ‘새로운’의 줄임말

시목: 시냇가에 심은 나무

새롬: ‘새로움’의 줄임말

새벽

새봄

새미

새이: ‘새벽이슬’의 줄임말

샛별

소라

소담: 소담하다(생김새가 탐스럽다)의 어근

소리

소미

솔: 소나무

솔비

솔잎

슬기

슬미: 슬기롭고 미덥다

슬비

슬아: 슬기롭고 아름답다

슬이

슬찬: 슬기롭고 찬란하게 빛나라

아람

아리

엄지

여름

열매

예닮: 예수님을 닮아라?

예슬: 예쁘다 + 슬기롭다

우람: 우람하다(기골이 장대하다)의 어근

우리

으뜸

은비

이슬

잎새

잔디

조은: 좋은

제나: 제 자신

초롱

초록

푸름

풀잎

파랑

파란

하나: 첫째라는 뜻

하늘

하늬: 서풍을 순우리말로 하늬바람

하루

하얀

하양

하은: “하나님의 은혜”

한결: ‘한결같다’

한길: 한 길만 가라는 뜻

한별: 큰 별 같이, 밤 하늘에 빛나는 사람이 되어라

한누리

한불

한빛

한샘

한솔

한얼

한울: 하늘의 옛말. 우주, 큰 울타리라는 뜻도 있다.

한움: ‘한 울타리’라는 뜻

해봄

해솔

햇님

햇살

혜윰: 생각이라는 뜻

힘찬

지금까지 순우리말 이름, 예쁜 순수 한글이름 모음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작명으로 고민중이신 분들께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순수 한글 이름, 예쁜 우리말 이름 정보

순수 한글 이름, 예쁜 우리말 이름 정보

아기가 태어나는 것은 집안의 큰 경사입니다. 집안의 보물에게 가장 먼저 하는 것은 바로 이름을 지어주는 것이죠. 요즘은 보통 태명을 많이 지어서 부르기 때문에 아기 이름이 정해지기 전까지는 계속 태명을 부르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름이라는 것이 아무래도 평생 아기에게 붙어 다니는 것이기 때문에 신중해질 수밖에 없는데요. 간혹가다가 이상한 이름들을 가지고 있어서 괴로워하는 경우도 발생하곤 하죠. 이런 분들은 참지 못하고 개명을 신청하는 경우도 상당히 많습니다. 그만큼 이름이 중요하다는 것이겠죠.

예전에는 이름을 지을 때 한문으로 짓는 경우가 많았습니다만 근래에는 순수 한글 이름을 지어주는 경우도 많이 보이더군요. 더군다나 순수 한글 이름은 우리말이라 그런지 부르기도 편하고 듣기도 좋은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한글 이름으로 이름을 지어주고 싶은데 도대체 한자가 섞이지 않은 단어들이 무엇인지 찾기 힘드신 경우도 있으시죠? 워낙 한자들이 섞여있는 단어들이 많다보니 순우리말을 찾기도 버거울 때가 있습니다. 여기에서 이름에 어울릴만한 예쁜 우리말까지 찾아야 하니 엄청 찾기가 힘들 수밖에 없죠.

이럴 때 참고하실만한 곳이 있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작명 자료실을 운영하고 있는 곳이라 다른 페이지들은 저도 안봐서 잘 모르겠고, 여기에서는 이름에 쓰일만한 순우리말들을 많이 확인해 볼 수 있더군요.

더군다나 ㄱ ~ ㅎ 순으로 나열이 되어 있어서 원하는 초성을 찾기도 편하고, 영어이름을 정하고 싶으신 분들도 살펴볼 수 있도록 정리가 되어 있네요.

물론 이곳에서도 마음에 드는 이름을 찾지 못하실 수도 있습니다. 여러 단어들이 많이 모여 있으니 이름 지으실 때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세용!!

작명 자료실

아름다운 한글 이름

반응형

•가람男/女(/漢) : 강이라는 뜻.

•가온男/女(/漢) : 가운데라는 뜻.

•가을男/女(/漢)

•겨운男/女 : 다운, 다움, 겨움과 더불어 정씨들만 전용으로 쓸 수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정겨운’, ‘정다운’, ‘정다움’, ‘정겨움’

•겨레男/女 : 민족(民族)의 순우리말이다. 만일 성이 한씨인 사람이 이 이름은 가질 경우 이 신문을 먼저 떠올리는 경우가 많다. 한자 이름으로 착각할 경우 ‘겨례’로 쓰거나 간혹 ‘겨래’가 되기도 한다.

•겨울女 이 경우에도 한씨인 사람이 쓰면 한겨울이 된다. 가상의 인물로는 매지컬 고삼즈의 한겨울이 있다.

•결 : ‘겨울’의 줄임말, 또는 나뭇결이라 할 때의 ‘결’로서 일관된 패턴 같은 형식을 가진 무늬, 또는 성결이란 말에서 알 수 있듯이 마음의 바탕을 뜻하는 순우리말. 성이 한씨일 경우 ‘한결’이란 이름이 된다.한결같다

•고은·고운 女/漢 : 고유어 ‘단어’가 아닌, 그냥 순우리말 이름이다. 이 이름을 듣는 사람들의 대부분이 형용사 “곱다”의 관형형 활용인 “고운”을 쉽게 떠올릴 수 있다. 한편, 음성모음인 ‘ㅜ’를 쓴 ‘고운’은 자칫 무거운 느낌을 줄 수 있어서 그런지 좀 더 가벼운 느낌을 주는 ‘고은’이라는 이름을 좀 더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 ‘ㅡ’도 음성모음인데?

•구슬女/漢 : 흔한 이름은 아니다. 한자로 쓸 경우는 球瑟 등으로 쓴다.

•그루男/女

•그림女 : 슈스케의 김그림 말고도 이런 이름을 쓰는 사람이 없지는 않을 것이다. 모 미술학원에선 김그림이란 이름의 미술대회 대상 수상자의 작품이 걸려 있었더라는 제보가 있기도 했다.

•꽃님女

•꽃뜰女

•꽃잎女

•나라女(/漢) : 중국의 국명 중 외자인 나라들은 한국에서는 나라 이름임을 분명하게 하기 위해 뒤에 ‘나라’를 붙이는데, 성씨 중에는 중국에서 유래한 경우가 많아 나라 이름과 사람 이름이 구분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다만 한국의 대성들은 나라 이름에서 유래하지 않은 것이 많고, 한국에서 유명한 중국의 왕조와 동명의 성씨들은 한국에서는 대성이 아닌 경우가 많아 대개는 헷갈릴 일이 없다. 상상할 수 있는 온갖 나라 이름이 다 있는 춘추시대에 관련한 우리말 출판물을 보면 비교적 흔한 성씨와 엮이는 나라 이름도 제법 있다. 신나라, 장나라 등등. 만일 성이 한씨인 사람이 이 이름은 가질 경우, 한나라가 된다. 한나라당

•나래女/漢 : 날개의 또 다른 말. 웹툰작가 서나래씨의 이름이 이뜻이다.

•나리女/漢 : 백합의 순우리말. 태풍 이름(…)으로도 쓰인다.

•나무男(/漢) : 전씨가 사용하면 그대로 전나무가 되고 극히 드문 성씨지만 소씨가 사용하면 그대로 소나무가 된다. 한자 이름으로는 娜武(아름답고 굳세다)라고 쓴 예가 있다.

•나은女/漢 : 한자어 이름으로도 자주 쓰이지만 이 이름을 쓰는 사람 중 가장 유명한 위인인물인 손나은과 이나은 모두 순우리말 이름이다.

•난새男(/漢) : 지휘자 금난새 선생의 이름. 하늘을 나는 새 라는 뜻이라고 한다.

•노을男/女(/漢) : 다른 성씨에도 쓰이긴 하지만 노씨가 사용하면 그대로 노 을이라는 외자 이름이 된다.

•누리男/女(/漢) : 새누리당 고유어 이름으로는 대단한 역사와 뼈대(?)가 있는 이름. 우리가 朴赫居世 즉 ‘박혁거세’로 알고 있는 인물이 현대 우리말 “밝은누리” 혹은 “붉은누리”에 가까운 발음이라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며, 신라와 고구려 임금 가운데 누리에 가까운 발음이 많다. (예를 들면 유리왕이라든가 유리 이사금이라든가.) 고대부터 왕명으로 자주 쓰인 것 같으며(세상을 다스릴 자가 왕인데 세상이 곧 누리니까), 현대까지도 품위를 잃지 않고 남아있는데, 고대엔 정복자, 왕에게 붙이는 굳센 이름이었으나 지금은 아주 여성적인 이름으로 쓰인다는게 아이러니하다. 다만 오래도록 쓰였고 조음도 간단한 단어인 탓에 동음이의어가 많아서, 현대 한국어의 누리에는 우박이나 로커스트(…)라는 뜻도 있긴 하다. 이것도 꽤 오랜 역사를 지닌 뜻들이다.

•느루(/漢) : 한꺼번에 몰아치지 아니하고 오래도록.

•다래女(/漢) : 과일 이름.

•다솔女(/漢) : 고유어로 쓰인다면 어린 소나무를 다솔이라고 부르던 것에서 유래했다고. 다윗과 솔로몬에서 땄다는 해석도 존재한다. 근데 그럼 순우리말이 아니라 외래어 이름이 되겠지 한자로 쓸 경우 多率 등으로 써서 많이 거느린다 뭘? 는 뜻으로도 쓴다. 이러면 남녀공동 이름이 된다.

•다솜女 : ‘사랑’의 옛말이라고 한다.

•다슬女(/漢) : 다정하고 슬기롭다는 뜻. 한자로 쓸 경우는 多瑟 등으로 쓰며 이 경우 지명으로도 쓰인다.

•다온 : 모든 좋은 일이 다 오는 이라는 뜻. 남녀 구분 없이 중성적인 느낌의 이름.

•다운男/女(/漢), 다움男/女 :일반적으로 정 씨와 합쳐져 “정다운”이나 “정다움”으로 많이 쓰인다. 하지만 다른 성과도 많이 조합된다. 남자의 경우에도 소수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했다. 자매의 경우 아름과 합쳐서 아름 다운(다움)이라고 이름 붙이기도 한다.

•다은女 : 다사롭고 은은하다의 줄임말이다.

•다해女/漢 : 뭐든지 “다 하고” 살아라 → 다해. 한자 이름일 경우 多海 등으로 쓴다. 가끔 달과 해를 합쳐서 다해라고 짓기도 한다. 다혜와는 다르다.(이쪽은 거의 다 한자이름)

•단비女/漢

•달男(/漢) : 하늘에 떠 있는 달, 맞다. 밝게 빛나란 뜻으로 지어주는 이름이 대부분이지만 성이 ‘박’씨면 단단하다는 뜻의 박달이 된다. 박달나무의 그 박달. 그리고 성이 ‘반’씨이면 반달(…) 황씨인 경우에는 황달이 된다(…) 윤씨인 경우에는 윤달이다(…)

•달래女(/漢) : 봄나물로 먹는 식물 이름. 성이 ‘진’ 씨면 진달래가 된다.

•닷옴붉뇌 男 : 다솜과 붉뇌의 합성어. 붉뇌는 맑은 누리라는 뜻이라나. 이병 “김닷옴붉뇌”가 있었다.

•닻별 : 카시오페이아성의 순우리말 표기라고 한다. 한명 확인.

•대솔(/漢) : 대나무 + 솔(소나무)

•동녘男 : 동쪽을 의미. 같은 이름의 출판사도 존재.

•두리男/女(/漢) : 둘째라는 뜻.

•둘리男/女 : 이 이름을 사용하는 실존인물은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지만, 이 이름의 선구자인 아기공룡 둘리가 남캐다.

•라온(/漢) : ‘즐거운’이란 뜻의 고대 한국어라고 한다. 네이버 지식인 중심으로 유행한 적이 있다. 인명보다는 대학생 봉사단 팀명 등 단체명으로 인기있는듯 하다.

•로운 : 이(李)씨 성을 가진 사람 뒤에 붙으면 ‘이롭다’라는 뜻의 ‘이로운’이 된다. 물론 이(利)로운이므로 엄연히 따지자면 한자 관형어지만 뒤의 ‘~로운’ 자체는 순우리말이다. 해로운

•루리(/漢) : 성까지 합쳐서 ‘이루리’라는 형태로 이름이 완성된다. 일본어 루리와는 관련없다. 어떤 루리웹 유저가 딸 이름을 루리라고 지은 글이 있는데, 역시나 댓글에서는 어머니 얘기가 나오고 있다.

•루마(/漢) : 정확히는 성까지 합쳐 ‘이루마’라는 형태로 고유어 이름이 완성되는 경우. ‘~~를 이루마’라는 뜻이라고 하며, 피아니스트 이루마가 있다. 딸은 상술한

•루다

•라움(/漢) : ‘아름다운’이란 뜻의 순 한글말.

•마루男 : 정상, 꼭대기라는 뜻.

•마음女(/漢) : 가끔 남자 이름으로도 쓰인다. 배우 이정용은 둘째아들 이름을 이렇게 지었다.

•맑음女 : KIA 타이거즈 치어리더로 활동하고 있는 김맑음 치어리더가 있다.

•무늬女 : 형태, 모양 등의 의미이나 어감이 좋아 쓰이는 것 같다.

•미리내女(/漢)

•미르女/男 : 용이라는 뜻.

•미소랑女

•믿음男 : 가끔 여성 이름으로도 쓰인다. 상술한 이정용의 큰아들 이름이기도 하다.

•바다男/女(/漢)

•바랄男(/漢) : 바로 위 단어의 어원(바ᄅᆞᆯ)으로, 그리 잘 쓰이는 인명은 아니다.

•바람男/女(/漢)

•바우男/漢 : 바위의 옛말 또는 사투리. 근데 코메의 바우는 여자다 걔는 BOW잖아

•반디女

•밝음男/女

•밤비女

•버들/男

•별女(/漢) : ○별도 자주 보인다. 이 쪽은 男/女인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한별)

•별님女

•별비女(/漢)

•보름女 : 스케이팅 선수 김보름

•보라女/漢 : 배우 남보라가 있다.

•보람男/女(/漢) : 한자 이름이나 중국어권 음차로는 寶藍 등을 쓴다. 寶藍은 선명한 남색, 사파이어를 뜻한다.

•보미女/漢 : 봄 + ~이. 보배로울 寶 + 아름다울 美의 한자 이름으로 쓰이기도 한다.클 甫 +아름다울 美로 쓰는 사람도 있다.

•보슬女/漢 : ‘보슬보슬’은 눈이나 비가 조용히 내리는 모양을 나타내는 의태어다. 보배롭고 슬기롭다는 뜻도 있다. 한자 이름으로 쓸 때는 寶瑟 등으로 쓴다. 그러나 보슬아치라는 악성 신조어 때문에 졸지에 나쁜 이름이 되어버렸다(…).

•보지女(/漢) : 다른 의미가 있는 게 아니고 생식기관 그것 맞다. 한창 남아선호사상이 팽배할 때 아들을 원하는 집에서 딸에게 이런 이름을 붙이는 정신 나간 사람이 있기도 했다. 매우 비상식적이고 절대 있어서는 안 되는 작명이긴 하지만 개명신청 사례로 분명히 꾸준히(!!!) 올라오는 이름이라서 수록.

•봄女 : ○봄도 자주 보인다.

•봄소리女 : 바이올리니스트 김봄소리가 있다.

•봄이女

•비빔男 : (관련 기사, 관련 영상) 부모에게서 받은 이름이 아니라 개명 후 받은 이름이며, 아마 전국에 “비빔”이란 이름을 가진 사람은 유비빔이 유일할 것 같지만 어쨌든간 순우리말 이름이기는 하니 적어둔다. 男 기호는 이 이름의 유일한 소지자가 남성이라.

•빛男/女 : 한씨 성과 맞물려 쓰이는 경우가 많다. 과거 모 은행의 이름이기도 했고.

•빛나女 : 배우 왕빛나와 BJ 로봉순의 본명인 김빛나가 있다. 금(琴)씨나 은(殷)씨의 경우에는 성씨랑 합쳐 쓰이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안씨는 사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안빛나

•빛가람男/女 : 축구선수 윤빛가람이 있다.

•빛내리女 : miRNA 연구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서울대 김빛내리 교수가 있다.

•빛찬男

•사랑女/男(/漢) : 여배우 김사랑, 남자 가수 김사랑이 있다.

•새론女(/漢) : ‘새로운’을 줄인 형태. 배우 김새론이 있다.

•새롬女 : ‘새로움’을 줄인 형태. fromis_9의 이새롬이 있다.

•새벽女 : 아는 대로 그 새벽. 남자 이름으로도 드물게 쓰인다.송새벽이 대표적인 예.

•새봄女/男 : 남자 이름으로는 상상하기 어렵지만,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구새봄이 워낙 유명하다보니…

•새미女(/漢) : 샘 + ~이

•새이女 : ‘새벽이슬’을 줄인 형태. 가상 인물로는 유미의 세포들의 서새이가 있다.

•샛별女 : 사이시옷을 없애 ‘새별’이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샘女/男 : 남성이 쓴 예로는 김샘이 있다.

•설믜女 : ‘눈썰미’의 고어라고 하는데, 하필이면 믜 자가 EUC-KR에 없는 글자라, 심하게 말하면 전산상에서 없는 사람 취급당하는 적이 많다고 한다. #

•소라女/漢 : 원시복족목(原始腹足目) 소라과의 연체동물을 뜻하는 말이지만 어감이 좋아 이렇게 짓는 사람들이 많다. 일본어에선 하늘이다

•소담女(/漢) : 소담하다(생김새가 탐스럽다)의 어근.

•소리女(/漢) 일본어에선 썰매(…)라는 뜻

•소미女(/漢) : 솜과 같이 부드러운 여자가 되라는 뜻에서 솜+이를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이라고 한다. 바리에이션은 솜이.

•솔女/漢 : 순우리말 이름일 경우 소나무를 한 글자로 줄인 솔이지만, ‘솔직하다’의 그 솔을 쓰는 한자 이름인 경우도 꽤 있다.

•솔비女(/漢)

•솔잎女

•슬女/漢 : 거의 이씨 성의 여자 전용으로 합치면 이슬이라는 이름이 된다. 구씨 성의 여자 이름으로 구슬을 완성하는 경우도 있다. 한자 이름일 경우 비파 슬(瑟)로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슬기女(가끔 男)/漢 : 흔히 ‘슬기롭다’ 등으로 쓰는 순우리말 단어. 한자로 쓸 경우 瑟琪 등으로 쓴다.

•슬미女(/漢) : 일반적으로 순우리말 이름으로 쓸때는 슬기롭고 + 미덥게 자라라 라는 뜻으로 짓고, 그렇게 해석하는게 대부분이지만 슬미라는 단어 자체가 원래 슬기롭다의 옛말이라고 한다.

•슬비女(/漢) 이것도 거의 이씨 여자 전용. 이슬비

•슬아女/漢 : 슬기롭고 아름답다. 한자 이름일 경우 瑟娥 등으로 쓴다.

•슬이女/漢

•슬찬男(/漢) : 슬기롭고 찬란하게 빛나라. 축구선수 이슬찬이 쓴다.

•아라女 : 주로 조씨인 경우가 많다.

•아람男/女/漢

•아름女(/漢): 한자 이름일 경우 娥凜(아름답고 늠름하다) 등으로 쓴다.

•아름송이女(/漢): ‘한아름송이’라는 케이블 방송 출연자가 있다.

•아리女/漢

•엄지女/漢

•여름女(/漢)

•열매

•예닮男/女: 예수님을 닮아라를 축약한 듯하다.

•예본男/女: 예수님을 본받아라

•예슬女(/漢): 예쁘다 + 슬기롭다. 어디선 예수님의 슬기로 해석하기도 한다.

•예원: 예수님이 원하신다라는 뜻도 된다. 그 예로 엄지(본명이 김예원. 순우리말 이름이라고 밝힘.)

•예은女/漢 : 예수님의 은혜로 해석하기도 한다. 다만 한자 이름인 경우가 많다.

•예지女/漢 예수님의 지혜라는 뜻으로 붙이는 경우도 실제로 확인하였다.

•예찬男 : 예수님을 찬양하라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아니 그냥 예찬 아닐까

다만 위의 예은•예지•예찬의 경우 히브리어+한자의 조합이기에 순우리말 이름이라고 부르긴 적절하지 않다. 물론 그냥 예도 예(禮)+알 지(知)/찬란할 찬(燦) 등 평범한 한자이름인 경우가 더 많겠지만

•우람男/漢 : 우람하다(기골이 장대하다)의 어근. 야구선수 정우람이 쓰고 있다.

•우리男/女(/漢)

•유리女/漢 : 유리(瑠璃)는 한자어이지만 이름으로 쓸 경우 한자 표기를 쓰지 않는 경우가 많다.

•으뜸男/女 : 여자이름에 쓰이기도한다.유명인으로는 심으뜸이 있다. NC 다이노스 소속 박으뜸이 쓰고 있다.

•은별女/漢 : 어원상 한자(銀)와 고유어(별)이 섞인 것으로 봐야 하겠지만 고유어 이름으로 매우 많이 쓰이기 때문에 수록. 한자 이름으로는 恩別, 銀別, 恩鱉 등으로 쓴다.

•은비女(/漢)

•이룸女

•이슬女/漢

•잎새女

•잔디女

•조은女/漢 : 한글로 쓰일 땐 ‘좋은’의 뜻. 같은 작명 센스로 ‘고은’이란 이름이 있기도 하다.

•좋은일男/女

•제나女/漢 : 제 자신. 영어권 여자 이름 Zena의 뜻도 있다.

•진솔男/女(/漢) : 한 번도 빨지 않은 새 옷이라는 뜻…이 있지만 그 뜻보다는 ‘진솔하다’에서 따온 경우가 더 보편적. 다만 원래 진솔(眞率)은 한자어다.

•진해女/漢 : “진하게” 살아라 → 진해. 아무래도 그 鎭海로 이름을 지을 리는 없겠지

•초롱女(/漢) : ‘맑고 영롱하게 빛나다’라는 뜻의 ‘초롱초롱하다’에서 따온 이름. 추가로 에이핑크의 박초롱이 대표적인 사례다.

•초아女/漢 : 굳이 어거지로 끼워맞추면 ‘초처럼 자신을 태워서 밝게 빛을 내는 사람’이라는 뜻이라고 하는데… 이 의미의 ‘초’는 한자 ‘촉’에서 온 거라 애매하다. ‘아’는 문제가 더 심각한데, 만약 아이라는 뜻으로 쓴 거면 100% 순수 정통 한자라서, 순우리말 이름으로 쳐주기가 힘들다. 독음이 같은 한자어 초아(草芽)는 풀의 새싹이라는 뜻이다.

•초록男/女 : 초록색을 의미하며 원래는 한자어(草綠)이지만 이름에선 한자를 빼버리는 경우가 많다. 특히 형제들의 이름을 색깔별로 짓는경우, 푸름, 노랑, 하늘, 하양등은 다 순우리말이지만 초록은 한자어임에도 비슷한 어감을 가지므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포근男/女

•푸름男/女 : 꽤 많이 여자. 형용사화된 이름 ‘푸른’ 도 존재.

•풀잎女

•파랑/파란女(/漢)

•하나女(/漢) : 첫째라는 뜻으로, 주로 첫째들에게 심각하게 많이 발견되는 이름. 한창 순우리말 이름이 유행할때는 한 반에 세명 네명꼴로 모일 때도 있었다. 어떤 집에서는 딸 하나만 낳자고 첫째를 하나로 지었다가 딸만 일곱을 보았다는 슬픈 이야기가 전해온다. 중국어권에서는 荷娜로 많이 음차한다.

•하늘男/女 : 여자 이름에 꽤나 많이 쓰이고 있다. 그 까닭은 단어의 “뜻”보다는 소리가 주는 울림이 여성적이어서라는 해석이 적절하겠다. 형용사 ‘하늘거리다’의 영향을 받은 것일 수도 있다. 한자로 ‘하늘’이란 뜻의 昊와 旼도 소리 자체의 어감에 따라 전자는 남성 이름에 거의 쓰이는 반면 후자는 여성 이름에도 흔한 편. 프랑스어, 스페인어 등 라틴어계에서는 주로 하늘이 남성형 명사라 남성성에 대응한다는 지적이 있는데 모든 문화권에서 다 그렇다고 볼 수 없고, 하늘이란 이름의 여성성은 전통적으로 쭉 이어져 내려왔다기보단 20세기 후반에 고유어 이름의 부흥때문에 새로 얻어진 것으로 봐야겠다. 일본 여자이름 소라(하늘의 뜻)의 영향 설은 일제시대 때 한국인 및 일본인 작명법과 전혀 동떨어진데다 해방 이후 일본과의 단절을 생각하면 설득력 없는 얘기.

•하늬女 : 서풍을 순우리말로 하늬바람이라고 한다. 배우 이하늬가 있다.

•하다女/男 : ~하다. 보통 장 씨 성과 맞물려 ‘장하다’라는 이름이 된다. 가수 장범준의 아들이름이기도

•하루女(/男)(/漢)

•하얀女

•하양女(/漢)

•하은女: “하나님의 은혜”라는 뜻일 경우 “은”이 한자이기는 하지만 일종의 순우리말 이름. 2000년대 중후반 출생 중에 굉장히 흔한 이름이며 특히 교회에 가면 굉장히 많다. 비슷한 이름으로 “예은” “주은”이 있다.

•한결男/女(/漢): 형용사 ‘한결같다’의 어간으로써 변하지말고 한결같아라는 의미를 가질수 있으며, 깊은 풀이로는 ‘한’을 중세국어에서 ‘많다, 크다’로 풀이하여 커다란 물결 이란 의미도 가진다. 그리고 부사로도 ‘한결’이란 말이 있는데 이 쪽은 ‘한결같다’와는 의미가 꽤 다르다. ‘오랜만에 목욕을 하고 나니까 기분이 한결 나아졌다’라든지. 더 줄여서 ‘결’이라는 고유어 이름을 쓰는 예도 있다.

•한길男(/漢) : 말 그대로 한 길만 가라는 뜻이다. 소설가/정치인 김한길이 있다.

•한별男/女(/漢) : 큰 별 같이, 밤 하늘에 빛나는 사람이 되어라라는 뜻으로 지어주는 이름.

•한누리男/女(/漢)

•한불男(/漢)

•한빛男/女 : 모델 최한빛이 있다.

•한샘男/女

•한솔男/女(/漢)

•한얼男(/漢)

•한울男/女(/漢) : 하늘의 옛말. 우주, 큰 울타리라는 뜻도 있다. 야구선수 강한울이 있다.

•한움男 : ‘한 울타리’라는 뜻이라고 한다.

•해봄男/女 : MBC 예능 마이리틀텔레비전의 PD인 모르모트 권해봄 pd가 대표적이다.

•해솔女(/漢)

•햇님女

•햇살

•혜윰女 : ‘생각’이라는 고어 중 몇 되지 않는 고유어다.

•힘찬男 : 야구선수 배힘찬과 비에이피 김힘찬이 있다.

반응형

키워드에 대한 정보 순수 한글 이름

다음은 Bing에서 순수 한글 이름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예쁜 우리말 이름 모음 – 뜻이 좋은 순우리말 모음,한글 이름 짓기,순 우리말 사전,우리말 좋은 뜻,뜻이 예쁜 순우리말 단어,순우리말 모음,한글 이름 추천,순수 우리말 이름 추천

  • 예쁜 순우리말 모음
  • 순 우리말 사전
  • 순우리말 이름
  • 뜻이 좋은 순 우리말 이름
  • 순 우리말 한글 이름 짓기
  • 순우리말 단어
  • 순우리말 좋은뜻
  • 순수 우리말 모음
  • 뜻이 예쁜 순우리말 단어
  • 뜻좋은 한글
  • 순 우리말 사전 찾기
  • 순우리말 모음
  • 한글 이름 추천
  • 예쁜 한글이름 모음
  • 아름다운 한글 단어
  • 순우리말 회사 이름
  • 예쁜 한글단어
  • 멋진 순우리말
  • 예쁜 한글이름
  • 예쁜 한자 이름
  • 예쁜 단어들
  • 하늘 순우리말
  • 한글 이름 모음
  • 예쁜 이름
  • 무료 한글 이름 짓기
  • 순우리말 이름 짓기
  • 좋은 한글 이름
  • 한글 이름 짓기
  • 순우리말 상호
  • 좋은 이름모음
  • 아름다운 순우리말
  • 순수 우리말 단어
  • 순우리말 찾기
  • 우리말 배움터
  • 순우리말 국어사전
  • 순우리말 검색
  • 예쁜 여자 이름 모음
  • 예쁜 순수 우리말
  • 친구 순수 우리말 모음
  • 예쁜 순우리말
  • 예쁜 가게 이름
  • 예쁜 꽃이름
  • 아름다운 순수 우리말

예쁜 #우리말 #이름 #모음 #- #뜻이 #좋은 #순우리말 #모음,한글 #이름 #짓기,순 #우리말 #사전,우리말 #좋은 #뜻,뜻이 #예쁜 #순우리말 #단어,순우리말 #모음,한글 #이름 #추천,순수 #우리말 #이름 #추천


YouTube에서 순수 한글 이름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예쁜 우리말 이름 모음 – 뜻이 좋은 순우리말 모음,한글 이름 짓기,순 우리말 사전,우리말 좋은 뜻,뜻이 예쁜 순우리말 단어,순우리말 모음,한글 이름 추천,순수 우리말 이름 추천 | 순수 한글 이름,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독도 포스터 그리기 | ❤독도사랑포스터❤그리는 방법/예시작/미술학원샘이 들려주는 꿀팁 67 개의 베스트 답변

Leave a Comment